[인마금(仁摩錦)]
입엽으로 샤프한 잎 자태는 약간 대형으로 된다. 잎 뒤에 墨을 흘리거나, 白縞와 黃縞를 동시에 흘리는 일도 있다.
또 縞 품종은 보통 縞가 잎 기부로부터 끝까지 빠지지만, 본 종의 白縞는 잎의 중간 정도에서 끊어지기도 하여, 불가사의한 藝를 나타낸다.
또한, 여러 가지의 변화로,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단계인지, 변화가 당연한 예인지, 어쩠든 복잡한 예를 가지고 있는 주인공이라 할 수 있다.
白縞만으로 된 것은 “백청용(伯靑龍)”과 닮았으며,
무지로서 광엽(狂葉)인 “낭화사자(浪花獅子)”와 꼭 닮은 신아도 생긴다.
이런 변화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도 많다. 어떻게 고정되느냐가 앞으로 즐거움이 따를 품종이다. 입엽으로 복잡한 예를 나타낸다.
니축에 니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풍란/준하복륜(駿河覆輪) (0) | 2007.04.18 |
---|---|
풍란/황금충(黃金虫) (0) | 2007.04.18 |
풍란/[비충(轡虫)] (0) | 2007.04.12 |
풍란/환희천(歡喜天) (0) | 2007.04.12 |
풍란/아보전(雅寶殿) (0) | 2007.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