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書藝)의 이해(理解)
2009.03.19 by 산과벗
영(永)자 팔법
2009.02.20 by 산과벗
한문서체(漢文書體)의 종류
서예 기초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능숙한 서예가는 붓을 가리지 않는다
탁본이란 무엇인가?
서예용어
우리나라 유명한 서예가
2008.11.26 by 산과벗
서예(書藝)의 이해(理解) - 서법예술(書法藝術)이란 무엇인가? 서법(書法)이란 탄력성(彈力性)이 풍부한 독특한 모필(毛筆)로 글씨를 쓰는 방법으로, 한자조형(漢字造形)의 특질(特質)에 의하여 예술적인 구상(構想)과 수법(手法)을 거쳐 만들어진 형태를 말한다. 형식상으로 본다면 서법은 정신(精神)과..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9. 3. 19. 16:33
영자팔법(永字八法) ※ 영자팔법(永字八法)이란 무엇인가? 길 영 永자를 통해 한자의 기본 점획(點劃) 쓰는 법을 익히도록 만들어 놓은 운필(運筆)방법 여덟가지를 말하며, 이른바 서예의 기본 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것이다. 영자팔법에 대하여 옛 사람들은 많은 언급을 하였으며 서예의 가장 기초적인 ..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9. 2. 20. 17:56
한문서체(漢文書體)의 종류 한자의 경우는 고대 한자의 서체인 전서(篆書)를 비롯하여, 중국 한나라 때의 예서(隸書), 한자의 일점·일획을 정확히 독립시켜 쓰는 해서(楷書), 해서를 약간 흘림글씨로 쓰는 행서(行書), 그리고 이들 글자의 일부 자획을 생략하여 흘림글씨로 쓰는 초서체(草書體) 등을 가..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9. 2. 20. 16:27
1. 筆 法 用筆法(용필법) 지면에 점획을 揮毫(휘호)할 때 올바른 집필법과 자세에 의하여 붓의 성능을 잘 살려서 어떻게 하면 점획에 자세와 性情(성정)이 잘 표현되어 생동미 있는 書를 揮毫(휘호)할 수 있는가 하는 즉 筆의 使用法(사용법)을 말하는 것이다. 運筆法(운필법) 用筆(용필)의 시간적 연속에 ..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9. 2. 20. 16:00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能:능할 능. 書:글 서. 不:아니 불. 擇:가릴 택. 筆:붓 필. [출전]《唐書》〈歐陽詢傳〉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 곧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데 종이나 붓 따위의 재료 또는 도구를 가리는 사람이라면 서화의 달인이라고 할 수 없다는 말. 당나라는 중..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9. 2. 20. 15:57
탁본 1. 탁본이란 무엇인가 탁본(拓本)은 탑본(榻本),탑본(搭本),사출(寫出)이라고도 하는데 금석(金石)에 새겨진 글씨나 그림문양(紋樣)등을 종이에 대고 찍어 박아내는 것을 말한다.원래 탁본은 중국에서 시작되어 기술과 방법도 여러 나라로 전래되었으며, 따라서 탁본의 방법도 나 라에 따라 다소 틀..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9. 2. 20. 15:54
서예용어 【ㄱ】 가로쓰기-서제를 가로로 배열하여 쓰는 방법으로 글자의 윗 부분을 맞추어씀. 가리개=곡병(曲屛)-두 쪽짜리의 병풍으로 물건을 가리건 구석 장식용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임. 간가(間架)-점과 획의 간격을 조형적으로 알맞게 하는 것. 간찰(簡札)-간지에 쓴 편지글. 갈필(渴筆)-먹이..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9. 2. 20. 15:51
우리나라의 유명한 서예가 삼국시대 김생(金生) 석영업(釋靈業) 최치원(崔致遠) 김원(金東 ) 김언경(金彦卿) 최인곤(崔仁滾) 등 고려 이환추(李桓樞) 장단열(張端說) 우세남(虞世南) 채충순(蔡忠順) 김거웅(金巨雄) 민상제(閔賞濟) 안민후(安民厚) 이원부(李元符) 석탄연(釋坦然) 오언후(吳彦侯) 석영근(..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8. 11. 26.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