益者三友 損者三友
2007.10.19 by 산과벗
명심보감/도연맹의 盛年不重來 一日難再晨...
2006.12.22 by 산과벗
주자십회(朱子十悔)
2006.12.06 by 산과벗
참다운 삶을 위한 훈화 글/명심보감에서
2006.10.13 by 산과벗
사자소학 { 四字小學 }
2006.08.29 by 산과벗
25. 권학편/勸學篇
24. 염의편/廉義篇
23. 효행편 속편/孝行篇 續篇
출전 『論語』「季氏」 유익한 벗이 셋이고, 해로운 벗이 셋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유익한 벗이 셋이고 해로운 벗이 셋이다. 정직한 사람을 벗하고 신의가 있는 사람을 벗하고 견문이 많은 사람을 벗하는 것은 유익하다. 허식적인 사람을 벗하고 아첨을 잘하는 사람을 벗하고 빈말만 잘하는 사..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7. 10. 19. 14:22
陶淵明 詩云 盛年은 不重來하고 一日은 難再晨이니 성 년 불 중 래 일 일 난 재 신 及時當勉勵하라. 歲月은 不待人이니라 급 시 당 면 려 세 월 부 대 인 ▶해석: 도연명의 시에 이르기를 젊은 나이는 거듭 오지 않고 하루에 새벽은 두 번 오기 어려우니 때에 미쳐 마땅히 학문에 힘써라. 세월은 사람을 ..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12. 22. 11:14
주자십회(朱子十悔) 열 가지 모든 일에는 항상 때가 있고, 때를 놓치면 뉘우쳐도 소용없음을 강조한 말이다. 사후청심환(死後淸心丸),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유비무환(有比無患), 망양보뢰(亡羊補牢) 등과 통한다. 1. 불효부모사후회(不孝父母死後悔)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에 뉘우..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12. 6. 09:10
( 명 심 보 감 ) 참다운 삶을 위한 훈화글 남을 무시하지 말라 태공이 말하였다. " 자기가 잘났다고 생각하여 남을 업신여겨서는 안 되며, 자기가 크다고 생각해서 작은 사람을 무시해서도 안되고, 용기를 믿고 적을 가볍게 대해서도 안된다. " 힘으로 남을 이기려 하지 말라 맹자가 말하였다. " 힘으로 남..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10. 13. 08:57
사자소학 { 四字小學 } 사자소학은 주희의 소학과 기타 여러 경전의 내용을 알기 쉽게 생활한자로 편집한 한자학습의 입문서로써, 옛날에 서당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한자의 기초 교과서 이다. 사자소학에는 부모님에 대한 효도, 형제간의 우애, 친구간의 우정, 스승 섬기기, 바람직..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55
25. 勸 學 篇 권 학 편 朱子曰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하며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라 日月逝矣나 歲不我延이 주자왈 물위금일불학이유래일 물위금년불학이유내년 일월서의 세불아연 니 嗚呼老矣라 是誰之愆고. 오호노의 시수지건 주자가 말하기를, "오늘 배우지 아니 하고서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44
24. 廉 義 篇 염 의 편 印觀이 賣綿於市할새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이니 有鳶이 攫其綿하야 墮印觀家어늘 인관 매면어시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유연 획기면 타인관가 印觀이 歸于署調曰鳶墮汝綿於吾家 故로 還汝하노라 署調曰 鳶이 攫綿與汝는 天也라 인관 귀우서조왈연타여면어오가 고 환녀 서조왈..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43
23. 孝行篇 續篇 효행편 속편 孫順이 家貧하여 與其妻로 傭作人家以養母 有兒每奪母食이라 順이 謂妻曰兒奪母 손순 가빈 여기처 용작인가이양모 유아매탈모식 순 위처왈아탈모 食 兒는 可得이어니와 母難再求하라고 乃負兒往歸醉山北郊하여 欲埋堀地러니 忽有 식 아 가득 모난재구 내부아왕귀취산..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