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환상의 섬 백령도/인천 옹진

본문

위    치 : 인천 옹진군 백령면  
관 리 청 : 옹진군청 백령면사무소
전화번호 : 032-836-1771
홈페이지 : 백령도 www.baengnyeongdo.com 
개    요 : 북한과 가장 가깝게 있는 넓이 46.35㎢의 섬으로 국내에서 13번째로 큰 섬이었으나, 근래
           에 화동과 사곶 사이를 막는 간석지 매립으로 면적이 크게 늘어나 8번째로 큰섬이 되었다. 
           이곳은 군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곳이기 때문에 들어가려면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일단
           들어가보면 자연 그대로의 섬의 매력에 빠져들고 만다.
           심청이 몸을 던진 인당수가 보이며 해삼,전복 등 어종도 풍부하다. 또 섬 서쪽 두무진 아
           래 선대바위는 고려 충신 이대기가 <백령지>에 "늙은 신의 마지막 작품"이라 표현했을 만
           큼 기기묘묘함을 자랑한다. 더욱이 지상 2층 규모의 심청각을 건립하였으며 사곶천연비행
           장, 두무진 등과 연결되는 백령도 일대를 관광코스로 조성하였다. 그리고 진촌리 북쪽 해
           안에는 국내 유일의 물범 서식지인 물개바위가, 용기 포구 옆에는 세계에서 두 곳밖에 없
           는 규조토 해변(일명 사곶해안)이 있다. 길이가 자그마치 3km, 썰물 때에는 3백m 이상의 
           단단한 도로가 생겨 차도로 사용되고 군수송기의 이/착륙이 가능하다.
주변명소 : * 서해의 해금강 두무진(명승제8호) - 제2의 해금강 또는 금강산의 총석정을 옮겨 놓았
              다고 할 만큼 기암절벽이 많은 두무진은 백령면 연화 3리 해안지대이다. 신선대, 형제
              바위, 장군바위, 코끼리바위 등이 푸른 바닷물과 어울려 아름다운 비경을 이룬다. 
              장군들이 모여 회의하는 모습처럼 보인다고 해서 이름지어진 두무진, 통통배를 타고 
              이 일대를 해상관광하는 관광객들은 벌어진 입을 다물지 못할 정도이다. 
              두무진을 등진 바다 건너편에는 북녘땅 장산곶과 몽금포해안이 가깝게 보여 실향민들
              이 두고 온 고향을 그리며 애환을 달랠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 사곶해수욕장(천연기념물 제391호) - 주변에 크고 작은 기암절벽으로 둘러싸여 절경을 
              이루고, 해변 후면에는 0.2㎢ 가량의 검푸른 해송지대와 해당화 나무가 어우러져 시원
              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너비 100m의 백사장은 경사가 거의 없는 매우 고운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수심 또한 매우 낮다. 
           * 콩돌해안(천연기념물 제392호) - 백령도의 지형과 지질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는 곳 중
              의 하나로 해변에 둥근 자갈들로 구성된 퇴적물이 단구상 미지형으로 발달한 해안이다. 
              콩돌해안은 백령도 남포리 오군포 남쪽해안을 따라 약 1km 정도 형성되어 있고 내륙쪽
              으로는 군부대의 해안초소와 경계철조망이 설치되어 있다. 둥근 자갈들은 백령도의 모
              암인 규암이 해안의 파식작용에 의하여 마모를 거듭해 형성된 잔 자갈들로 콩과 같이 
              작은 모양을 지니고 있어 콩돌이라 하고, 색상이 백색, 갈색, 회색, 적갈색, 청회색 
              등으로 형형색색을 이루고 있어 해안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있다.
* 심청각 - 심청이 아버지 심봉사 눈을 뜨게 하기위해 공양 미 삼백석에 몸을 던진 인당수와 심청이 환생했다는 연봉 바위 등 백령도가 심청전의 무대였던 사실을 기리기 위해 인당수와, 심청이 환생했다는 연봉바위가 동시에 내려다 보이는 곳에 심청각을 건립하여 전통문화를 발굴, 계승함 과 아울러 "효"사상을 함양하고, 망향의 아픔을 가진 실향 민에게 고향을 그리는 대책사업으로 심청이 환생장면 등을 전시했을 뿐만 아니라 심청전에 관련된 판소리, 영화, 고서 등을 전시하고 있다.
<현무암분포지>
* 감람암포획 현무암 분포지(천연기념물 제393호) - 백령도 지역의 현무암류는 진촌마을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면적은 약 4㎢이며 용암류의 두께는 최대 10m정도의 단일층으로 산출되며 해안가에서는 5~10m 두께의 단일 용암단위가 고 토양층을 경계로 상부에 분포한다. 현무암이 분포하는 해안의 길이는 약 1㎢가 되며 앞 바다 에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바다여가 보인다.

<물개바위>
* 물범바위 - 두무진 주변 선대암과 코끼리 바위를 지나면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받고 있는 물범이 수면에 잠길듯 말 듯한 바위에 옹기종기 집단서식하고 있다. * 사항포갈매기서식지 - 사항포에 갈매기 수만쌍이 있어 학 생들의 자연탐구 활동이 가능하며, 주변에 두무진 선대바 위, 촛대바위, 장산곶, 몽금포 등 자연경관이 뛰어나 휴 양객들의 휴식처로 좋으며 사진촬영에 그만이다.
관광코스안내 : 두무진에서 낚시배 이용. 숙박업소에 문의하고 배를 빌려 백령도 주변 해안을 관광할 수 
           있다. 대절버스를 이용하여 두무진까지 갈 수 있다.
           백령도선착장 - 사곶천연비행장 - 심청각 - 물범바위 - 담수호관광 - 두무진관광 - 
           콩돌해안 - 백령도 선착장
           * 관광안내
           (주) 도서여행사 ( www.dostour.com   032-888-3377) / 연안여행사 (032-834-3515), 
           백령관광( www.brtour.co.kr    032-836-8118) / 까나리여행사(032-836-6789) /
           백령여행사(032-836-6777)/ (주)인천씨투어 ( www.032seatour.com   032-888-4400)
현지교통 :
 ※ 렌트카 032-836-5580, 836-3236 
 ※ 개인택시 032-836-0016, 836-0477, 836-0117, 836-0201, 836-3388, 836-0328
 * 배편 - 인천연안부두에서 1일 2회(07:10. 08:00) 출항하는 백령도행 초쾌속선
           (마린브릿지호, 데모크라시5호)을 이용해 백령도 용기포선착장에서 하선.
 
청해진해운(데모크라시5호)진도운수(백령아일랜드호)
인천 (032-884-8700),
백령도 (032-836-5252)
인천 (032-888-9600)
백령도(032-836-3500)
인천출발 - 08:00 / 백령도 출발 - 13:00인천출발 - 07:10 / 백령도 출발 - 12:10
홈페이지 http://www.cmcline.co.kr 홈페이지 http://www.jindotr.co.kr
※ 서해도서선편자동안내 032-888-0116
※ 선박운항 시간은 수시 변경되므로 출발 전 반드시 확인 요망
※ 선박요금
데모크라시호 비수기- 들어갈 때49,500원 나올 때48,000원
데모크라시호 성수기- 들어갈 때54,300원 나올 때52,800원
백령아일랜드호 비수기- 들어갈 때,나올 때 도합 97,500원
백령아일랜드호 성수기(7/20~8/15)- 들어갈 때,나올 때 도합 10,7100원
도로안내 : 경인고속도로 - 인항로 좌회전 1km - 연안부두쪽 우회전 - 연안동 인천연안여객선터미널 현지숙박 : 여관/ 구주모텔(032-836-6655), 문화모텔(032-836-7001), 이화장모텔(032-836-5101) 옹진군 홈페이지 http://gun.ongjin.incheon.kr 백령도 관련 사이트 www.baengnyeongdo.com 수협 홈페이지 내 '바다사랑 고객사랑' www.suhyup.co.kr 특 산 물 : 참다래(키위), 까나리액젓, 흑염소엑기스, 전복, 해삼, 약쑥, 마늘, 가리비, 농어, 우럭, 놀래미, 백령쑥뜸 정보제공자 : 인천 남구 숭의2동 현숭덕 님
 작성기준일   2007년 06월 29일

   * 현지사정에 따라 정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사항을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백령도 사진모음

 

 

 

 

 

 

 

 

 

 

 

 

 

 

 

 

 

 

 

 

 사진출처: 한국의산하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