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아파트 30평형 한 채 값이 10억 원을 훌쩍 뛰어 넘었지만 강남 집값 못지않게 비싼 것이 있다. 바로‘난(蘭)’이다. 우리나라 에서 가장 고가의 난은 촉당 1억5천 만원(최상품 기준)을 호가하는 엽예품 ‘벽담’이다.
▲한국난문화협회 류중광이사장이 소장한 ‘벽담’ - 호가 6억원(촉당 1억5천 만원▲
‘벽담’은 잎 가운데 부분이 아예 노랗게 변이 돼 희귀종 중에서도 희귀종에 속한다. 이 난은 일본에 3촉, 국내에 7촉 밖에 없다. 우리 나라에서 벽담을 소장한 사람은 한국난문화협회 류중광(57) 이사장이 유일하다.
▲2000년 ‘실호’에서 ‘중투호’로 발전한 벽담의 모습▲
서울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류 이사장의‘난실’은 여느 대기업의 ‘비밀금고’ 못지않게 보안시설이 잘 돼 있다. 류 이사장이 소장한 난 3000여 분은 시가 200여 억원에 이른다.류 이사장은 일년에 난을 팔아 10억 여원의 소득을 올린다. 여느 전문직 종사자 못지않은 고소 득이다. 류 이사장의 해마다 8억~10억원 어치 난을 판 후 이를 세무서 에 신고한다.
우리나라의 난 애호가는 100여 만명. 난 업계 종사자에 따르면 난 애호가 중 촉당 수 백 만원에서 수 천 만 원대의 난을 구입하는 수요는 3만 여명 에 이른다.‘아파트 한 채 값과 맞먹는 고가의 난을 누가 살까? '하고 의 구심이 들지만 고가의 난 일수록 찾는 사람이 더 많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