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산 산행(2020-04-19)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에 위치한 인성산을 찿았다.
의림사에 도착하니 접벗꽃나무가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나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잠시 사찰에 들려 이곳저곳 둘려보며
천년고찰 의림사의 운치있는 풍경을 경을 카메라에 담았다.
산나물도 따며 오르다보니 전망바위를 지나 정상까지 오르게 되었다.
딱 트인 조망이 태산이 부렵지 않은 천하일품이였다. 멀리 지리산 천왕봉도 가물거리며 시야에 들어왔다.
연초록 봄기운을 품은 아름다운 인성산 풍경을 카메라에 담아왔다.
의림사(義林寺)
"의림사(義林寺)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인곡리 여항산(餘航山)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梵魚寺)의 말사이다. 688년(신문왕 8)에 위웅대사(爲雄大師)가 창건하여 봉덕사(奉德寺)라 하였다. 조선 초기까지는 큰 규모의 사찰이었으며 선종(禪宗)에 속하였다. 임진왜란 때 전소된 뒤 중창과 함께 절 이름을 의림사로 고쳐 부르게 되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된 절터에 의병들이 숲(林)처럼 모여들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 뒤 수차의 중수를 거쳐 내려오다가 6·25전쟁 때 다시 전소되었다. 한편 조선 후기 영조·정조대 이후에 제작된「의림사도형(義林寺圖形)」이라는 채색지도를 통하여 당시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이 지도는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지도에는 법당·노전(爐殿)·시왕전·나한전·국사영당(國師影堂)·청원루(淸遠樓)·영원당(永元堂)·금장각(金藏閣)·북암(北庵)·남암(南庵) 등이 있었고, 그 이전에 세웠던 보광전·관음전·천왕문·청하당(淸霞堂)·백하당(白霞堂)·만월당(滿月堂)·망월암(望月庵)·동암(東庵)·해행당(解行堂)·미타전 등이 경내 외에 있었다고 나와 있다. 또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월정암(月精庵)·옥계암(玉溪庵) 등의 산내암자 7개를 거느린 대찰이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당우들은 모두가 6·25전쟁 이후 중창, 건립된 것으로, 대웅전·산신각·승당·요사채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3층 석탑과 부도 3기가 있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2호로 지정된 삼층석탑은 2중 기단 위에 세워진 것으로 상륜부(相輪部)는 본래의 것이 아닌 자연석을 올려놓았으며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또 부도는 의림사 앞쪽 300m 지점의 야산 기슭 경작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석종형(石鐘形)과 원통형 옥개(屋蓋)를 갖추고 있으며 가운데 부도에 판독하기 어려운 각자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의림사 [義林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우산 철쭉산행(2020-05-05) (0) | 2020.05.06 |
---|---|
백월산의 봄(2020-04-24) (0) | 2020.04.26 |
창원 적석산 산행(20202-04-05) (0) | 2020.04.06 |
무학산 진달래 산행(2020-04-04) (0) | 2020.04.06 |
창원 천주산 진달래 산행(2020-03-30) (0) | 2020.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