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1

☞여행·가볼만한 곳/외국·중국여행

by 산과벗 2006. 6. 1. 18:07

본문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서안의 북문을 들어 서면 웅대한 성루...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성벽 바깥으로 보이는 해자(垓字).외적의 성벽 접근을 막기 위해 인공적으로 판 도랑을 말함....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북문에서 남쪽으로 뻗은 북대로(北大路)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성벽 위에서 바라본 성루(城樓)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성벽의 두께는 이처럼 넓다.....

그야 말로 견고한 철옹성 이라 할수 있는데 성벽 축조는 성벽 바깥쪽에 돌을 붙이고

성벽 본체는 진흙과 회반죽을 짖이겨 단단하게 굳힌 것 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성체의 외벽은 바위를 깬뒤,바위 조각을 깎아 내어 일정한 크기로 다듬어서 벽돌처럼 다듬어서 차곡 차곡 쌓아 올렸다는 것이 가이드의 설명....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서안 시의 중심에 위치한 종루(鐘樓)와 주변 광장의 야경(夜景)

종루는 구리 종을 걸어 놓고 시각을 알리기 위해 종을 내건 누각을 말하며

1384.년에 지어 졌다. 이 누각은 밖에서 보면 3층이나 내부는 2층구조로 되어 있으며, 못을 하나도 박지 않고 지어졌다는 것 이다. 종루의 기초는 정방형으로 되었는데. 높이 8.5미터 넓이 35.5미터로서 청색의 돌로 쌓았다.사면에 각기 높이와 넓이가

6 미터의 문이 있으며. 종루 (鐘樓)의 높이는 36 미터 나무로 되어 있고 위에는 녹색의 기와로 얹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진시황 병마용 박물관 입구)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진시황 병마용갱 앞의 안내원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정면으로 보이는 체육관 처럼 보이는 건물이 가장 먼저 발견 되었고 규모도 가장큰

1 호갱 박물관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1호갱은 실제 전투 대형의 보병과 전차가 포진 되어 있는데.병마용의 수가 모두

6.000 여구나 되며 전차가 모두 전차가 모두 40 여개 이고 그 면적이 14.260 제곱미터 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이곳은 병마용갱 에서 발굴된 주요 부장품을 보관 하고 있는 박물관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병마용갱을 관람 하기 전에 멀티 영상관으로 들어가,진시황의 일대기와 진시황릉및병마용갱의 제작과정,발굴 계기와 발굴 과정을 재현한 약 15 분 정도의 다큐멘트리를 관람하게 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이 장면은 진시황의 명령에 따라 병마용을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이 장면은 1974년 봄에 6명의 농부들이 우물을 파다가 우연히 병마용을 발견하던 당시를 재현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를 보다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974년 봄 섬서성(陝西省)임동현(臨潼峴)서양촌(西陽村)안채공사(安寀公社)소속의생산대 조장인 양전의(楊全義)일행은 타들어 가는 대지를 적시기 위하여 우물을 파고 있었다.며칠간 계속된 작업을 하던 가운데 3월 29일 4m쯤 파들어가자 생산 대원인 양지발(楊志發)청년이 내리친 곡괭이에 무언가가 걸리는 것이었다.무엇인가 하고 땅을 파보니 땅 속에서 진흙을 구워서 만든 사람 인형 조각이 나왔다.

 

벽돌 가마터 인줄 알았더니 웬 도용(陶俑)=도기인형.이지 자 어서들 팝시다.어쨌던 물만 나오면 되니까..'

 

양전의(楊全義)의 말에 농부들은 다시 곡괭이를 휘둘렀다.그러나 땅속에서 쏟아져 나온것은 물이 아니라 곡괭이 세례를 받아 깨어지고 부러진 도용 조각과 청동화살 창 쇠 뇌 석궁의 촉 따위였다.땅속에는 인형 몇개가 아니라 인형군대가 묻혀 있는 것 같았다.이 심상치 않은 사건은 때 마침 고향을 찿은 신화사 통신기자 린안인(藺安인)의 눈에 뛰어,인민 일보를 통해 모택동(毛澤東)에게 보고 되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1호갱 내부의 모습...

갱 내부에서 플레쉬를 터트리는 것은 철저하게 금지되어 있다.

왜냐하면 토용들은 2.200 년의 세월을 지나는 동안 매우 약해져서 빛을 받으면 쉽게 부서진다고 하기 때문이다.병마용도 지금은 이처럼 흙빛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지만 발굴 당시는 모두 컬러로 채색이 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빛에 노출된지 1주일내에 탈색 되었다고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1 호갱의 뒤쪽 출구에서 찍은 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병마용 박물관 안에는 1층은 매장으로 쓰이고 2층은 살림 집으로 쓰이는 일종의

사택(私宅)이 있다....

 

그 용도는 병마 용갱을 발견한 여섯분의 농부 가운데 지금도 생존해 계시는

양지발(楊志發)할아버지의 개인 저택으로, 위대한 발견을 하신 할아버지께 중국정부에서.여생을 편히 사시도록 지어준 것 이라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병마용갱 휴게 공간에 설치된 고대 전차 모습을 연상케 하는 독특한 벤취...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군사 지휘 본부로 추측 되는 3 호갱의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발굴 중인 2 호갱의 모습, 온전히 복원된 토용(土俑)은 앉아쏴 " 자세의 궁수(弓手)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병마용갱 박물관 지하 전시실 입구에 서 있는 병마용 모조품과 그 배경이 되고 있는 진시황릉 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3 호갱에 보존 되어 있는 군사상(軍使像)

 

오늘날 작전 참모에 해당하는 책사의 모습으로 얇은 갑옷을 입고 아랫배가 약간 나온 리얼한 모습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3 호갱의 통로에 보존 되어 있는 장군(像)

병마용 가운데 가장 키가 큰 190 cm 에 이르며,이목구비가 굵직굵직 선이 굵어 보인다. 지체가 높은 까닭에 갑옷을 벗은 모습이며,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은듯 아랫배가 많이 나왔다. 가이드의 설명으로는 흉노족 계통의 인물이라함....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병마용은 발굴당시 이와같이 토기 위에 계급과 군대의 종류에 따라 제복의 색깔이 모두 컬러로 칠해져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빛을 받은뒤 1주일만에 모두 탈색되고 현재 처럼 흙빛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진시황릉 부근에서 발견된 청동 마차2기  병마용갱 박물관에 복원 보전 되어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진시황릉 부근에서 발견된 청동마차 1호기(원본은 병마용갱 박물관에 전시 되어 있음.

두개의 청동마차는 실물크기의 1/2이었다. 이 사진은 앞쪽에 놓인 첫번째 마차 로서 진시황의 순시 마차를 호위 하던 선도 마차로 여겨진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 兵馬俑 博物館

진시황릉 부근에서 발견된 청동마차 2호기(원본은 병마용갱 박물관에 전시 되어 있음)

진시황이 타던 본 마차를 실물크기 1/2로 축소 한 것이다. 매우 정교 하게 만들어져 있어, 2.200 년 전의 대단한 기술 수준을 짐작 케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陵 入口)

진시황릉은 여산(驪山)의 북쪽의 1 km 에 위치해 있는데,여러 번 실측해 본 결과 바닥은 485x685m,높이는 76m라는 것이 최근 보도에 나왔다.옛 기록에는 높이가 50丈이라고 되어 있어 약 111m정도 이었던 것 으로 추정된다.

이능은 2개의 담장으로 둘러 쌓여있는데,안 담장은 578x685m,바깥 담장은 974x2173m이다.사람들은 이곳이 진시황릉 인지 알지 못하고 작은 야산으로 알아 ,석류나무를 심어 과수원으로 이용 하였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세계 문화 유산에 등록된 진시황릉 *

여산의 북쪽 위치에 자리한 진시황릉은 여산릉 이라고도 한다,이능은 70만명에 해당 되는 죄수들을 동원해서 대규묘로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으며.세번에 걸쳐 지하 수맥까지 파 내려가 그안에 궁전과 망루를 짓고 백관의 자리를 만들었으며.진귀한 물건들을 궁전의 창고에서 옮겨 왔다고 한다. 말 하자면 진시황은 죽어서도 제왕의 생활을 계속 하려 했던 것 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陵 주변 배치도*

세계적으로 개인 묘로 서는 최대의 크기인데 자세히 보지 않으면 그냥 야산으로 알고,쉽게 지나칠수 있는 곳이다.이 대규묘의 능 지하에는 궁전과 부장품이 있다는 것을, 자외선 조사로 밝혀낸 상태 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발굴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陵 *


진시 황제는 진나라를 다스리 면서 부터 자기 무덤터를 잡고 공사를 벌였다.36년이나 걸려 만든 그의 무덤은 왕성을 그대로 지하에 옮겨 놓은 듯이 거대하고 호화롭다고 전해 진다.중국의 유명한 역사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는 이렇게 씌여 있다.

 

그가 황제가 되자 마자 여산(驪山) 언덕에서 엄청난 토목공사가 시작되었다.온 나라에서 끌려온 70만명이 거기서 일했다.그들은 세군데나 지하수가 흐르는 곳 까지 파들어가 무덤을 만들었다.그 지하수들은 무덤안 지하도시를 흐르는 황하.양쯔.두강이 되었어며 수도 沈陽을 본뜬 이 도시는 궁궐들의 축소판으로 가득찼다.온갖 금붙이와 보물이 큰 궤3개에 가득 담겼다.시황제의 관둘레는 구리를 녹여 둘렀으며,이구리 벽을 뚫고 들어가는 사람은 화살세례를 피할수 없게 설계되었다.

진나라의 왕성이 재현된 이 지하 도시에 고래기름으로 만든 초가 황제의 영생을 밝히며 꺼지지 않고 탔다.

시황제의 무덤가에는 성벽과 망루 사원따위가 있었는데,이곳을 침략했던 반달족이 불태웠다.그러나 내성(둘레2.543m)외성(둘레6.294m)두겹으로 둘러쌓인 지하 도시만은 침략자의 말발굽을 피했다.무덤을 파헤친 항우도 지하 도시에는 발을 들여 놓지못했다.

중국사람들은 대칭을 중요하게 여기므로 무덤의 동쪽에만 병마용갱을 만들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 학자들의 추측이다.무덤과 그.서.남.북. 둘레를 다 발굴한다면,아마도 인류 역사상 가장 방대한 유적이 드러날지도 모른다.

 

무덤은 아직 발굴 되지도 않았는데.기껏해야 부장품을 묻었을 뿐인 주변의 땅굴(병마용갱)이 벌써 인류의 8대불가사의로 불리고 있으니.정작 무덤의 안쪽모습이 드러난다면,인류는 또 어떤 불가사의한 유산을 갖게 될까....

 

그때가 언제일까.? 진시황릉이 언제 다 발굴 되겠느냐는 질문에 한 중국 고고 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인내는 중국의 미덕이다.발굴은 천년을 더 갈지도 모른다. 그때는 우리도 유물이 되어 있으리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陵 *

진시황 당시의 진나라 영토 지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中國 - 西安 * 秦始皇陵 *


진시황릉 정상 에서 내려다 본 모습.....

'☞여행·가볼만한 곳 > 외국·중국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림의 산과 물  (0) 2006.06.09
북경 이화원  (0) 2006.06.01
중국의 호화주택 5곳  (0) 2006.06.01
중국여행(장가계/계림 등)  (0) 2006.03.29
중국에 이런곳이..  (0) 2006.02.2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