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말 귀한사진(조선시대사진)..

☞옛날·풍속·풍물/그때 그시절

by 산과벗 2007. 3. 15. 13:40

본문





1876 전차에 오르는 승객들



장춘단

장충단은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 당시 순절한 훈련대 연대장 홍계훈과 궁내부 대신 이경직(李耕稙) 이하 왕실을 위해 충절을 바친 여러 군인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제사단이다. 1908년 일제는 제사를 폐지시키고 이 일대를 공원으로 만들었다



어가행렬





융희 2년(1908) 장충단에서 거행되었다. 가운데 좌우로 서있는 사람은 조희연(趙羲淵)과 김윤식(金允植).

1908 갑신정변 을미사변 관련 희생자 추도회



마지막 황제 순종과 대신들




1902 고종의 칙명



원구단 일대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1910 짐꾼들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1910 지게로 옹기를 나르는 사람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1910 지게로 옹기를 나르는 사람





1904년경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충정공 민영환의 컬러 유리원판 사진.


출처 : 정성길 화성테마박물관장

1904 민영환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1910 젖을 먹이고있는 여인들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출처 : 1908년 National Geographic誌 7월호  기사 'Notes And Scenes From Korea'


1908 양반댁마님과 가마꾼










출처 : 1908년 National Geographic誌  7월호  기사 'Notes And Scenes From Korea'

1908 서당의 서동들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1910 상류층 부인을 태운 가마



출처 : 1908년 National Geographic誌 7월호  기사 'Notes And Scenes From Korea'

1908 상류부인과 규수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1910 빨래터에 가는 여인과 아이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1910 물지게꾼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목재를 파는 소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목재를 나르는 소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에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떡 만드는 사람들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오라버니에게 심신의 아픔을 절절히 적어 보낸 명성황후의 편지 두 통. 청나라제 예쁜 색지에는 대나무와 꽃이, 편지 봉투에는 나비가 그려져 있다.

1874 명성황후의 편지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돼지 팔러가는 사람들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돼지 팔러가는 사람




출처 : J.Z.Moore 1908년 National Geographic誌 7월호  기사 'Notes And Scenes From Korea'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1908~10 서울 - 짐꾼들


:

:

:

: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
1908~10 서울 - 승려들

:

:

:

:

: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
1908~10 상여

:

:

:



: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

:
1908~10 한양 - 주민들

:

:

:



: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

:
1908~10 한양 - 짐꾼들

:

:

:



:
출처 : 1910년 National Geographic誌 11월호  William W.Chapin의 기사 'Glimpses Of Korea And China'

:

:
1908~10 빨래터

:

:

:



:

:

:
:
:
:

:
:
:
:

:

1907 원구단과 황궁우


:


:



:
1899년에 여러 신위를 모시기 위하여 원구단의 북쪽에 지은 8각 3층의 건축물이다. 지금은 소공동 조선호텔 뒤에 있으며, 사적 157호로 지정되어 있다.
황궁우

:

:



:

:



:
고종이 1897년에 황제 즉위식을 거행했던 원구단은 1913년 일제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그 자리에는 철도호텔(현 조선호텔)이 들어섰다. 원구단의 정자

:

:
:

:

:



:
:

:


:
:
:
:

:
:
:
:
광희문(시구문) 밖

:
도성 동남쪽에 위치한 4소문의 하나이다. 문의 좌우 성벽은 일제 때 헐렸다가 1975년 남쪽으로 15m 옮겨져 복원되었다.

:
1892 광희문

'☞옛날·풍속·풍물 > 그때 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옛날 우리의 부모님들...^~^  (0) 2007.03.20
조선왕조 흥망사진전...  (0) 2007.03.15
그때 그시절 풍경  (0) 2007.03.12
추억의 사진들  (0) 2007.03.08
100년전의 인천 부산 서울  (0) 2007.02.2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