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영상컬럼】 동물의 세계 포토뉴스[07/08/29]

☞시사·연예·스포츠/오늘의 사건사고

by 산과벗 2007. 8. 29. 09:04

본문


【영상컬럼】 동물의 세계 포토뉴스

2007년 8월 29일 【수요일】
▒☞ 오늘의 날씨 ▒☞ 오늘의 스포츠 ▒☞ 오늘의 역사
★...영상컬럼은 사단법인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 이용규칙’을 준수합니다
★...컬럼작성은 인터넷판 신문사이트의 자료를 모아 쉽게 볼수 있도록 자체 편집한것 이며
★...담는 자료들은 포토를 중심으로 기사화 한 자료들을 우선적으로 하여 담고있습니다
★...담는 자료에 자세한 사항이 필요하시면 링크된 사이트를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혹 링크가 잘못 표기된 것을 발견하시면 연락하여 주세요.

★ 재미있는 동물의 세계 ★

대전 계족산에 반딧불이 살고있었네
“밤 9시나 10시쯤 가족들과 함께 한번 가보세요
무더위 씻어줄 작은 불빛이 반깁니다”


★...더우시죠.
오늘은 어릴적 고향집 앞마당 평상에서 어머니가 잘라주시던 수박 같은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이번 주말 밤 9시나 10시쯤 가족들과 함께 무작정 계족산에 가보세요. 왜냐구요? 오랜만에 가족들이랑 오순도순 산바람을 쐬면서 별구경 하시라구요. 아파트촌에서 시달렸던 후텁지근함과는 다른 상쾌함을 느끼실 겁니다. 무엇보다 그곳엘 가면 추억의 반딧불이를 만날 수 있답니다.

가실 땐 작은 손전등을 준비하세요. 너무 밝으면 반딧불이가 도망가요. 또 한가지. 근심걱정 훌훌 털어버리듯 신발과 양말을 벗고 맨발로 걸으세요. 계족산은 맨발걷기코스로 소문난 곳입니다. 처음엔 칠흑 같은 어둠에 앞을 분간하기가 힘들겠지만 사색을 하듯 발걸음을 살포시 내디디세요. 여유가 생기면 이태극님의 ‘반딧불’ 시조나 노래를 혀끝으로 굴려도 좋습니다.

어둠이 눈에 익을 때쯤이면 계족산 반딧불이를 발견하게 될 겁니다. 하천이나 계곡 근처에 사는 놈들에 비해 유난히 밝은 빛을 내는 ‘늦반딧불이’입니다. 암놈은 풀잎에 바짝 엎드려 밝은 섬광으로 수놈을 유혹하고 수놈은 암놈 위를 날면서 한껏 멋(光)을 뽐내지요. 도심에서 반딧불이를 구경하기란 흔치 않은 일입니다. 청정지역에서만 서식하는 ‘환경지표곤충’이니까요. 대전에는 계족산, 보문산과 갑천, 유등천, 대전천 등 3대 하천을 중심으로 운문산반딧불이, 애반딧불이, 늦반딧불이가 출몰합니다.

다양한 반딧불이를 대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니 어깨가 우쭐해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반딧불이는 물의 청정도, 습도 등에 민감합니다. 농촌의 가로등도 마찬가지구요. 결벽증 때문에 한동안 우리 곁을 떠날 수밖에 없었지요.
반딧불이는 빛을 발산하느라 에너지를 순식간에 많이 소비해 일찍 죽습니다. 짧지만 환하게 세상을 밝히다 떠나는 멋진 곤충입니다. 계족산에서 반딧불이와 추억을 더듬으며 늦더위를 잊으세요. 참, 돌아가실 땐 수정 같은 물에 발 씻는 것 잊지 마시구요. <김형규 기자>


대전일보


콘도르, 아름다운 날개짓


★...26일(현지 시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북쪽으로 60km 떨어진 Til-Til에서 세상에서 제일 큰 맹금류인 콘도르가 먹이를 찾아 쓰레기 매립지 위를 날고 있다. 칠레-브라질 양국의 조류학자들은 이날 콘도르들이 더 이상 쓰레기장에서 먹이를 찾지 않도록 썩은 고기를 제공하는 콘도르 보호 프로그램(PBCCA)을 시작했다

동아일보


쓰레기장 뒤지는 콘도르


★...26일(현지 시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북쪽으로 60km 떨어진 Til-Til에서 세상에서 제일 큰 맹금류인 콘도르가 쓰레기 매립지에서 먹이를 찾고 있다.다. 이날 칠레-브라질 양국의 조류학자들은 콘도르들이 더 이상 쓰레기장에서 먹이를 찾지 않도록 썩은 고기를 제공하는 콘도르 보호 프로그램(PBCCA)을 시작했다. [로이터/동아닷컴 특약]

스포츠동아


눈도 못 뜬 아기 사자들


★...27일(현지 시간) 요르단 암만 인근 요르단 동물원에서 사육사가 갓 태어난 새끼 사자 다섯 마리를 안고 있다


★...갓 태어난 아기 사자들 - 요르단 암만의 한 동물원에서 27일 갓 태어난 5마리의 흰 사자 새끼들. 흰 사자는 멸종위기의 희귀종으로, 아프리카 사자의 변종이다.
암만 부근에 있는 요르단 동물원에서 27일 한 사육사가 갓 태어난 5마리(이중 한 마리는 부분적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음)의 흰 사자새끼를 안고 있다. 이들중 암컷이 2마리이고, 수컷은 3마리이다. (로이터=연합뉴스)


동아일보 한국경제


바위 위에서 왜가리가, 내 쉴 곳 점점 없어지네…


★...지난 25일 인천 영종도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바위 위에서 왜가리가 쉬고 있는데, 건너편 공업시설과 묘한 대조를 이루어 촬영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http://cheori.com/bbs/zboard.php?id=offline&no=6456
사진제공= 처리닷컴/ 곰솔님


도깨비뉴스



출처 : 커피향기 영상천국
글쓴이 : 하늘위로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