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정맥의 정의,원인과 진단,치료,예방법

☞건강·생활·웰빙/의학상식·정보

by 산과벗 2007. 9. 5. 13:40

본문

 

부정맥의 정의

 

근육이 수축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발생되어야 가능하다. 그래서 심장내에는 자발적으로 규칙적인 전기를 발생시키고 심장전체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 전달 체계가 있다. 이런 체계의 변화나 기능부전등에 의해 초래되는 불규칙한 심박동을 부정맥이라 한다. 부정맥은 빠른 빈맥과 아주 느린 서맥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부정맥은 심각한 심장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또 환자가 인지할 수도 있고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부정맥의 유발원인

심장의 정상적인 수축에는 전기적 자극이 필요하다. 그 체계를 간략하게 보면 동방결절(sinoatrial node),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3개의 속가지(bundle branch)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방결절은 우심방과 상대정맥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정상인에서 맥박수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곳이다. 방실결절은 심방과 심실의 접합부에 위치하고 있고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심실의 속가지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심장에서의 정상적인 전기적 발생은 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신호를 규칙적으로 잘 만들어내면 방실결절이 그 신호를 받아 3개의 속가지들로 빨리 전달시켜 두 심실의 수축을 거의 동시에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 체계 자체에 기능부전이 발생되거나 이 체계를 벗어나 있는 곳에서 비정상적으로 전기가 발생되고 다른 길로 전기가 전달되면 부정맥이 발생한다. 또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의 변화나 환경의 변화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1. 전기 전달체계 자체의 병 동방결절 기능 부전군 (sick sinus syndrome)
    방실결절 기능 부전군 (방실차단, heart block)
    비정상적 전기 전달체계의 존재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정상적인 전기 전달체계 이외의 곳에서 발생되는 전기파 (기외수축등)
    유전적 질환
  2. 전기 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의 변화
    심근경색등의 허혈성 심질환
    선천성 심질환
    심근증, 심장판막질환
    여러가지 약물들
  3. 전기 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변화
    고도의 스트레스
    카페인
    술, 흡연
    불충분한 수면

부정맥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부정맥의 종류

  1. 서 맥(bradycardia)
    동성서맥(sinus bradycardia)
    동방결절 기능 부전군(sick sinus syndrome)
    방실결절 기능 부전군(방실차단, heart block)
  2. 빈 맥(tachycardia)
    1) 상심실성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접합부 빈맥(junctional tachycardia)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atrioventricular nodal reentry tachycardia)
        방실 회귀성 빈맥(atrioventricular reentry tachycardia)
        심방성 빈맥(atrial tachycardia)
        심방 조동(atrial flutter)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
    2) 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 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3. 기외 수축(premature beat)

 

부정맥의 증상

 

증상들은 사람마다 또 환자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이상에 따라 차이가 많다. 어떤 사람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고 심한 경우는 처음 나타나는 증상이 급사로 나타날 수도 있다.

  1. 심계항진(palpitation:두근거림):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기자신의 심박동을 인지하지 못한다. 갑자기 어떤 일로 놀랐을 때처럼,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빠르거나 느린 심박동을 본인이 느끼는 것이다.
  2. 맥이 빠짐 (skipped beat)
  3. 어지러움(dizziness), 실신(fainting), 피로감(fatigue): 머리나 몸 전체로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증상이다.
  4. 흉통(chest pain), 흉부 불쾌감(chest discomfort)
  5. 호흡곤란(shortness of breath)
  6. 급사(sudden death)

 

부정맥의 진단방법

 

부정맥의 진단은 중요하다. 진단과 치료없이 부정맥이 오래될 경우 심장의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심계항진이나 맥이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느낄 때는 가능한 빨리 심장내과 의사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것은 증상이 심장 전기발생의 이상과 연관이 있나 하는 것이다. 여기에 진단 방법으로는 심전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부정맥은 일과성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심장내과 전문의를 찾았을 때는 정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증상을 느낄 때 근처의 아무 병원이나 방문하여 심전도를 빨리 찍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하겠다.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가 있으면 진단은 쉽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진단방법은 다양하다.

  1. 심전도(electrocardiogram-EKG or ECG)
  2. 24시간 심전도(Holter monitoring)
  3. 심초음파(echocardiogram)
  4.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Treadmill test)
  5. 전기생리적 검사(electrophysiologic test)
  6. 기립경사 검사 (head tilt test)

 

부정맥의 치료방법

 

치료는 부정맥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다양하다. 비지속적인 부정맥을 가진 경우는 대부분 생활방식의 개선 이외의 치료가 필요치 않은 경우가 많다.

  1. 카페인 섭취의 감소 또는 절제
  2. 알코홀 섭취 제한
  3. 금연
  4. 유발 약제의 사용금지
  5. 스트레스 해소
  6. 약제: 베타차단제, 칼슘길항제, 디곡신
  7. 항부정맥 약제: 모든 항부정맥 약제는 양날을 가진 칼과 같아 부정맥을 억제할 수도 있지만 새로운 부정맥을 유발시키거나 더 심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약물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8. 전극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 빈맥을 가진 환자 중 전기 생리적 검사를 통해 빈맥의 원인을 찾을 수 있고 선택된 환자에서 도자 절제술을 통해 완치할 수 있다.
  9. 인공 심박동기(permanent pacemaker): 일시적이지 않고 증상이 있는 서맥을 가진 환자에서 시술하는 방법
  10.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증상을 가진 빈맥중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을 가진 환자에서 시술하는 방법

부정맥의 예방법

 

일반적으로 부정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심장병 예방을 위해 알려진 일반적인 생활방식의 개선외에, 환자가 자기가 가진 부정맥이 유발되는 상황(카페인, 술 섭취, 스트레스)을 알면 그런 상황을 피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의 하나일 수 있다.

 

 

자료발췌: 한성욱 부정맥클리닉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