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은 고씨(高氏). 이름은 주몽(朱蒙) 또는 추모(鄒牟), 상해(象解), 추몽(鄒蒙), 중모(中牟), 중모(仲牟), 도모(都牟)라고 기록되어 전한다. 즉 《국사 國史》 고구려본기를 인용한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는 성이 고씨, 이름은 주몽이라 하였다. 특히 《삼국사기》에는 ‘추모’ 또는 ‘상해’라는 이름도 전하고 있다. 또 백제에서 시조로 모신 동명에 대하여 《신찬성씨록 新撰姓氏錄》 등 일본문헌에는 ‘도모(都慕:일본음 쓰모)’라고 하였다. 이들 일련의 한자(漢字)표기는 모두 동명을 다른 글자로 표기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한편 중국문헌인 《위략 魏略》, 《후한서 後漢書》 부여전, 《양서 梁書》고구려전에는 부여의 시조가 동명이라 되어 있고, 《위서 魏書》· 《주서 周書》· 《남사 南史》· 《북사 北史》· 《수서 隋書》 그러나 주몽설화도 문헌기록에서 볼 때 동명설화와 줄거리가 구조적으로 똑같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의하면 주몽의 아버지는 천제(天帝)의 아들인 해모수(解慕漱)였으며, 해모수는 동시에 북부여의 왕이었다. 이것은 그가 동부여에서 태어 났음에도 불구하고, 고구려 왕실의 법통의 근원을 북부여에 두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주몽의 어머니인 하백(河伯)의 딸 유화부인(柳花夫人)이 천제의 아들이라는 해모수와 정을 통한 뒤 집에서 쫓겨났다. 금와왕은 그것을 개와 돼지에게 주었으나 먹지 않았고 길에 버려도 소나 말이 피해 갔다. 7살에 스스로 활과 살을 만들어 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의 말로 활을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 하므로 이름을 주몽이라 하였다. 금와왕에게는 일곱 왕자가 있었는데 큰아들 대소(帶素)가 “후환이 두려우니 제거함이 옳다.”고 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고 주몽에게 말을 기르게 하였다. 그는 날랜 말에게는 먹이를 적게 주어 여위게 하고 둔한 말에게는 먹이를 많이 주어 살찌게 하니 왕이 살찐 말을 골라 타고, 여윈 말은 주몽에게 주었다. 그러나 왕자들과 신하들이 주몽을 죽이려고 꾀하니, 유화부인이 “멀리 도망가서 큰 일을 도모하라.”고 이르니 오이(烏伊)· 마리(摩離)· 협보(陜父) 등 세 사람으로 벗삼아 엄체수(淹遞水, 또는 蓋斯水, 掩遞水, 奄利大水)에 이르렀다. 이때 주몽이 강물에 말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인데 오늘 도망하다가 뒤쫓는 군사가 닥치는데 이를 어찌하면 좋겠는가.” 하니 물고기와 자라들이 떠올라 다리를 만들었다. 주몽이 건너자 곧 흩어져 뒤쫓는 군사들은 건널 수 없었다. 한편 어머니 유화부인이 비둘기 한쌍을 보내어 보리씨를 전해주었다. 졸본(卒本:일설에는 紇升骨城)에 이르러 도읍을 정하고 비류수(沸流水) 위에 집을 짓고 살면서 서기전 37년에 나라를 세워 고구려라 하였다. 왕위에 올라 서기전 36년(동명성왕 2)에 비류국(沸流國) 송양왕(松壤王)의 항복을 받고, 서기전 33년에는 태백산 동남쪽의 행인국(荇人國)을 쳐서 그 땅을 빼앗아 성읍(城邑)으로 삼았고, 서기전 28년에는 북옥저를 멸망시켰다. 서기전 24년에 유화부인이 죽자 동부여의 금와왕이 후히 장례를 치러주었으므로 사신을 보내어 감사의 뜻을 표하였다. 이해 9월에 왕이 돌아가니 용산(龍山)에 장사 지내고 시호를 동명성왕이라 하였다.
그런데 주몽설화는, 첫째 여자를 가두었더니 햇빛이 비추어 태기가 그러나 주몽설화 또는 동명설화에는 단군의 전통에서 볼 수 없었던 넷째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그가 하백의 외손으로 물의 신령의 영험스러운 능력을 지녔다는 것으로 비를 다스리는 주술적 능력을 뜻하는 것이다. 즉 단군의 전통을 이어받았으면서도 새로운 농경사회의 특질을 가지고 있다. |
고왕(高王)/발해 대조영 (0) | 2008.02.28 |
---|---|
신라 박혁거세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0) | 2008.02.28 |
백제 온조왕 (溫祚王) (0) | 2008.02.28 |
가락국 김수로왕(首露王) (0) | 2008.02.28 |
단군(檀君) 신화 (0) | 2008.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