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직도 나라가 없던 시절에 가락지역에서는 주민들이 각 촌락별로 나뉘어 생활하고 있었는데, 3월 어느날 하늘의 명을 받아 9간(九干:族長) 이하 수백명이 구지봉(龜旨峰)에 올라갔다. 그곳에서 그들이 하늘에 제사지내고 춤추고 노래하자 하늘로부터 붉은 보자기에 싸여진 금빛그릇이 내려왔는데, 그 속에는 태양처럼 둥근 황금색의 알이 여섯개 있었다. 12일이 지난 뒤 이 알에서 남아가 차례로 태어났는데, 그 중 제일 먼저 나왔기 때문에 이름을 수로라 하였다고 한다. 주민들은 수로를 가락국의 왕으로 모셨고, 다른 남아들은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 이때가 42년(후한 건무 18)이었다고 한다. 수로는 즉위 후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천신의 명을 받아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온 아유타국(阿踰 그러나 이것은 신화적이어서 그대로 사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런데 이 신화는 그 구조상으로 볼 때, 신성한 왕권의 내력을 풀이한 천강난생신화(天降卵生神話)로서 한국고대국가 성립기에 흔히 보이는 건국시조신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학자들은 황금빛 천강 등으로 상징되는 북방으로부터 이주해온 유이민집단이 낙동강 하구유역의 토착 선주민들과 결합하여 초기국가를 형성해나갔던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아울러, 수로가 여섯개의 알 중에서 제일 먼저 나왔다는 표현은 가락국(금관가야)을 중심으로 가야제국을 통합하려는 의식을 반영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또한, 이 신화에서 3월에 목욕재계하고 잡스러움을 떨쳐버리는 불계의식( 수로왕은 금관가야가 신라에 병합된 후에도 가야의 시조로서 계속 봉사(奉祀)되었다. 문무왕은 수로왕릉의 위전(位田)을 설치하여 능묘의 제례를 후손에게 계속하게 하였으며, 그것은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계속되었다. 최치원의 〈석이정전 釋利貞傳〉에서는 금관가야의 시조를 뇌질청예(惱窒靑裔)라고 하여 서로 비교가 된다. ▲ |
고왕(高王)/발해 대조영 (0) | 2008.02.28 |
---|---|
신라 박혁거세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0) | 2008.02.28 |
백제 온조왕 (溫祚王) (0) | 2008.02.28 |
동명성왕(東明聖王)++++++ (0) | 2008.02.28 |
단군(檀君) 신화 (0) | 2008.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