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보리타작/정약용

☞고사·한시·속담/시조·한시

by 산과벗 2008. 5. 27. 09:01

본문

 

 

 

      新芻濁酒如潼白(신추탁주여동백)      大碗麥飯高一尺(대완맥반고일척)

      飯罷取枷登場立(반파취가등장립)      雙肩漆澤飜日赤(쌍견칠택번일적)

      呼邪作聲擧趾齊(호사작성거지제)      須臾麥穗都狼藉(수유맥수도랑자)

      雜歌互答聲轉高(잡가호답성전고)      但見屋角紛飛麥(단견옥각분비맥)

      觀其氣色樂莫樂(관기기색낙막락)      了不以心爲刑役(요불이심위형역)

      樂園樂郊不遠有(낙원낙교불원유)      何苦去作風塵客(하고거작풍진객)

     

          새로 걸러낸 막걸리의 빛처럼 뿌옇고

          큰 사발에 보리밥의 높이가 한 자로세.

          밥을 먹자 도리깨를 잡고 마당에 나서니

          검게 그을린 두 어깨가 햇볕을 받아 번쩍이네.

          응헤야, 소리를 내며 발 맞추어 두드리니

          순식간에 보리 낟알들이 마당 안에 가득하네.

          주고받는 노랫가락이 점점 높아지고

          단지 보이는 것이 지붕 위에 보리 티끌 뿐이로다.

          그 기색을 살펴보니 즐겁기 짝이 없어

          마음이 몸의 노예가 되지 않았네.

          낙원이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닌데

          무엇하려고 벼슬길에서 헤매고 있으리오?

           

   [이해와 감상]

 이 한시는 농민들이 보리 타작을 하는 현장감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작품이다.

# 제1∼4행은 막걸리와 보리밥 한 그릇을 거뜬히 먹고 나서, 웃옷을 벗고 마당으로 나가 보리타작을 하는 농민의 활기찬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 제5∼8행은 보리 타작을 하면서 힘에 겨운 줄도 모르고, 서로 흥겨운 노랫가락을 주고 받으며 일하는 노동의 즐거움이 나타나 있다.

# 제9∼10행은 농민들의 건강하면서도 생동하는 삶으로 말미암아, 육신과 정신의 조화로운 통일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 마냥 즐겁기만 하다.

# 제11∼12행은 작자 자신의 고달픈 벼슬살이에 대한 반성을 자조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농민들과 함께 하는 순수하고 건강한 삶에 대한 다짐이 엿보이고 있다.

농민들이 보리타작이라는 공동 작업에 몰두하는 모습을 통해, 노동이야말로 참으로 즐거운 삶이요 건강한 삶임을 말해 준다. 육체와 정신이 통일된 농민들의 건강한 삶의 표상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면서 '마음이 몸의 노예가 되지 않았네' 와 '무엇하러 벼슬길에 헤매고 있으리오?'와 같은 부분을 통해서는, 마음이 몸의 노예가 되어 벼슬길에 헤매이며 시달렸던 작자 자신의 삶을 반성하기도 한다.

정약용은 사회제도의 모순이나 백성들의 삶의 고뇌 등을 주로 작품의 주제로 삼는데, 이 한시 또한 작자의 주제의식에 부합되는 내용인 것 같다.  우리는 이 시를 통해서 조선 후기 성장하는 평민들의 모습을 손에 잡히는 듯이 느낄 수 있으며, 새롭고 가치있는 삶을 평민들의 현실세계에서 찾고자 한 당시 진보적 지식인의 경향을 엿볼 수 있을 것 같다.

 

   [정리]

square10_green.gif 형식 : 한시, 서정시, 사실주의시, 행(한시의 한 형태)

square10_green.gif 성격 : 사실적, 묘사적, 평민적, 역동적, 반성적

square10_green.gif 표현

    * 농촌에서 노동하는 모습을 사실적이고 현장감 있게 그려 내었다.

            → 사실성과 현장성이 평민적인 시어의 구사와 함께 잘 어울리는 조선 후기 한시의 전형임.

    * 선경후정의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하였다.

    * 작가의 중농사상과 현실주의 시 정신이 드러나 있다.

square10_green.gif 구성

    * 기(1 ~ 4행) : 노동하는 농민의 건강한 모습

    * 승(5 ~ 6행) : 보리 타작하는 마당의 정경

    * 전(7 ~10행) : 정신과 육체가 합일된 노동의 기쁨

    * 결(11~12행) : 관직에 몸담은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

square10_green.gif 주제 : 농민들의 보리 타작과 노동의 보람

square10_green.gif 배경 사상 : 실사구시의 실학사상

square10_green.gif 출전 : <여유당전서>

 

   [참고]

■ 농촌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다산의 <탐진농가>

 

      모내기철 품팔이에 집집마다 아낙네들 바빠

      보리 베는 반상(남편) 일을 돕지 못하네.

      이 서방네 약속 어기고 장 서방네로 가나니

      이로 보면 밥모보다 돈모가 낫지 않나.

 

농번기를 맞아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란 농촌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조선 후기 사회로 들어서면서 화폐 경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돈의 가치가 높아졌는데, 품팔이에도 밥을 얻어 먹는 '밥모'보다 품삯으로 돈을 받는 '돈모'에 아낙네들이 몰리고 있는 현실을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이 풍자적 성격을 갖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정약용의 조선시 선언(朝鮮詩 宣言)

    다산의 문학관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실의 하나는 그의 시가 강한 민족 주체 의식을 담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 당시 민족 또는 국가란 개념은 중국과의 관련하에서만 의미를 가지는 것인데 중국의 문자인 한자로 시를 쓰면서 민족 주체 의식을 담는다는 일이 언뜻 모순되는 말인 것같지만, 다산은 그 나름대로 중화주의의 절대적 권위로부터 벗어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노력의 결과가 그의 조선시 선언으로 응축된다.

             "...붓 가는 대로 마음껏 써 버리는 일이 어려운 운자에 신경 안 쓰고 고치고 다듬느라
                           늦지도 않네. (중략)  
                 흥이 나면 당장에 뜻을 실리고
                 뜻이 되면 당장에 글로 옮긴다
                 나는 본래 조선 사람
                 조선시를 즐겨 쓰리 ...."

출처 : 시흥요산회(始興樂山會)
글쓴이 : 雲谷.이진사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