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추석 차례 제대로 지내기(상차리기, 차례순서, 지방, 축문)

☞역사·족보·전통/전통 자료방

by 산과벗 2009. 9. 28. 19:15

본문

                                 추석 차례 제대로 지내기


                                            차례상 제대로 차리기

 

         

                 5줄 차례상 견본(지역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 차례상 차리는 방법


진설하는 열은 모두 5열로 위 그림과 방법으로 합니다.


제1열은

술잔과 메(밥), 떡국(설), 송편(추석)을 놓는 줄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시접(수저와 대접)은 단위제의 경우에 앞에서 보아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

제2열은

적(炙)과 전(煎)을 놓는 줄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

적 :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전 : 재료에 밀가루를 뭍혀서 후라이 팬에 부친 음식(부침개).

제3열은

탕을 놓는 줄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탕), 소탕(두부,채소류탕), 어탕(어패류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으로 할 때는 봉탕(닭,오리탕), 잡탕등을 더 올린다. 한가지 탕으로 하는 경우도 많이있다.

제4열은

포와 나물을 놓는 줄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우측 끝에는 식혜나 수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삼색나물이라하여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나물등을 쓰기도 하며 김치와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는 그다음에 올린다.

제5열은

과실을 놓는 줄

좌측부터 대추, 밤, 감(곶감), 배(사과)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놓는다.

 

[하나]   반서갱동(飯西羹東)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 한다.즉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두울]   적전중앙(炙奠中央)

적은 중앙에 위치한다. 적은 옛날에는 술을 올릴 때마다 즉석에서 구워 올리던 제수의 중심 음식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제수와 마찬가지로 미리 구워 제상의 한가운데 놓는다.

[세엣]   좌포우혜(左脯右醯)

4열 좌측 끝에는 포(북어, 문어, 전복)를 놓고 우측 끝에는 젓갈을 놓는다.

[다섯]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에 놓고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여섯]   두동미서(頭東尾西)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

[일곱]   홍동백서(紅東白西)

과일 중에 붉은 색 과일은 동쪽에 놓고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여덟]   조율시이(棗栗枾梨)

조율시이라하여 좌측부터 대추, 밤, 감(곶감),배(사과)의 순서로 놓는다.

[아홉]   좌면우병(左麵右餠)

2열 좌측에 국수를 우측에 떡을 놓는다.

[여얼]   생동숙서(生東熟西)

4열 동쪽에 김치를 서쪽에 나물을 놓는다.

[열하나]  건좌습우(乾左濕右)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 쪽에 놓는다.

 

밥(반飯)

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주발 식기에 수북이 담고 뚜껑을 덮는다. 예전에는 밥 외에도 국수를 올렸으나 오늘날에는 생략해도 무방하겠다.

국(갱羹)

제사 국이다. 신위의 수대로 대접 또는 주발을 담고 뚜껑을 덮는다. 재료는 쇠고기와 무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서 함께 끓인다. 고춧가루, 마늘, 파 등을 쓰지 않는다.

떡(편)

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하므로 팥고물을 쓸 때는 껍질을 벗겨 내어 가급적이면 흰 빛깔이 되게 한다. 보통은 백설기나 시루떡을 해서 사각의 접시에 보기쫗게 놓고, 신위의 수에 관계없이 한 그릇만 올리기도 한다.

찌게(탕(湯)

탕은 오늘날의 찌개라고 할 수 있다. 쇠고기, 생선, 닭고기 중 한가지만을 택하여 조리한다. 양념에 파, 마늘, 고추등을 쓰지 않는다. 예전에는 탕의 수를 1,3,5의 홀수로 하였고 탕의 재료로서 고기,생선,닭 등을 사용하였다. 3탕일 경우는 육탕, 어탕, 계탕을 준비하였는데 모두 건더기만 탕기에 담았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국물과 같이 올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편리한 대로한다.

튀김 및 부침(전煎)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것으로 육전(肉煎)과 어전(魚煎) 두 종류를 준비한다. 옛날에는 적과 함께 계산하여 그릇 수를 홀수로 만들기 위해 전은 반드시 짝수로 만들었다. 전과 적을 합하여 홀수가 괴어야 하는 것은 재료가 고기,생선등 천산(天産)이기 때문에 양수인 홀수에 맞춘 것이다. 육전은 쇠고기를 잘게 썰거나 다져서 둥글게 만들어 계란을 묻혀 기름에 부친다.어전은 생선을 저며 계란에 무치고 기름에 부친다.

구이(적炙)

적은 구이로서 제수 중 특별식에 속한다. 옛날에는 육적(肉炙), 어적(魚炙), 계적(鷄炙)의 3적을 세 번의 술잔을 올릴 때 바꾸어 구워서 올렸으나 오늘날에는 한가지만 준비하도록 하고 올리는 것도 처음 진찬 때 함께하고 잔을 올릴 때마다 따로 하자 않는다.

육적(肉炙)은 쇠고기를 2~3등분하여 길게 썰어 소금구이하듯이 익혀 사각 접시에 담는다.

어적(魚炙)은 생선 2~3마리를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 익혀서 사각의 접시에 담는다.

이때 머리는 동쪽으로 하고 배는 신위 쪽으로 가게 담는다.(지방에 따라 반대대로 하기도 한다)

계적(鷄炙)은 닭의 머리, 다리, 내장을 제거하고 구운 것으로 등이 위로 가게 하여 사각의 접시에 담는다.

적을 올릴 때는 적염(炙鹽)이라 하여 찍어 먹을 소금을 접시나 종지에 담아 한 그릇만 준비한다.

나물(숙채熟菜)

익은 채소이다. 한 접시에 고사리, 도라지나 무, 배추나물 등 3색 나물을 곁들여 담는다. 또는 각기 한 접시씩 담기도 한다. 추석 때는 배추, 박, 오이, 호박도 푸른색 나물로 쓰는데 역시 마늘,고추가루는 양념으로 쓰지 않는다.

김치(침채沈菜)

희게 담은 나박김치를 보시기에 담아서 쓴다. 고춧가루를 쓰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간장(청장淸醬)

맑은 간장을 한 종기에 담는다.

과일류

전통적으로 제사에 쓰는 과일은 대추 밤 감, 배였으므로 이것들을 꼭 준비하고 그밖에 계절에 따라 사과, 수박, 참외, 석류, 귤 등의 과일을 1~2종 준비하면 충분하다. 바나나, 파인애플, 키위 등 생소한 수입 과일은 일체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옛날에는 과일이 지산(地産)이라 하여 그릇 수를 음수인 짝수로 하였다.

포(脯)

고기를 말린 육포, 생선의 껍질을 벗겨서 말린 것, 문어나 마른 오징어 중에서 한두 종류를 사각의 접시에 한 그릇만 담는다. 옛날에는 문어다리나 오징어를 가위나 칼로 왕관, 산호, 공작깃의 형태로 오려서 장식하기도 했으나 오늘날에는 생략하기도 한다.


주의할 점

제사에 쓰지 않는 음식은 복숭아, 꽁치, 삼치, 칼치, 고추, 마늘, 고추가루 등이며 식혜, 탕, 면 등은 건데기만 사용합니다.

   


※ 차례지내는 순서


1.분향재배
제주가 제상앞에 정중하게 무릎을 꿇고 공손하게 두손으로 향불에 분향을 한 뒤 절을 두 번 한다.
2.강신재배
강신이란 신위(神位)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제주이하 모든 사람이 손을 모아 서 있고,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하고 집사자가 술을 술잔에 차지 않도록 조금 따라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받아서 모사 그릇에 3번으로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집사자에게 돌려 보내고 일어나서 2번 절한다.(향을 피우는 것은 위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요,술을 모사에 따르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다.)
3.참 신
참신이란 강신을 마친후 제주 이하 모든 참신자가 함께 두 번 절을 하는 것임.
4.계반삽시
계반삽시란 메(밥)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 것을 말하는데 수저는
동쪽을 향하게 꽂는다.(수저 바닥이 동쪽을 향하게 하여 꽂는다.)
5.초 헌(차례는 초헌이면서 단헌 즉 한번 잔을 올린다)
초헌이란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 후 집사자가 잔을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집사자가 따르는 술을 강신 할 때와 같이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3번 기울여 부은 다음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자에게 주면 집사자는 그것을 받아 제상에 올린다.
6.철시복반
철시복반이란 숭늉 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을 덮는 것을 말한다.
7.사 신
참사자 일동이 2번 절하고 지방을 태운다.
8.철 상
철상이란 상을 걷는 것을 말하는데, 모든 제수(祭需)는 뒤에서 물린다.
9.음 복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제사가 끝나면 제관들과 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
**지역, 가가호호마다 다를 수 있지만 경건하게 조상을 모시는 마음으로 지내시면 됩니다.

 


       
※ 지방 쓰는 법

 

 

       *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할 수 있다.  사진이 없을 경우 지방으로 대신한다.

 

       *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크기는 22cm*6cm로 한다.

 

       * 남자 지방의 경우 중간에 학생(學生)이라고 쓰며, 벼슬이 영의정 이라면 그대로

          (정일품 영의정) 이라고 학생 대신에 쓰면된다.

          부인의 경우는 보통 유인(孺人) 이라고 쓰나  이 경우는  孺人 대신 정경부인(貞敬夫人)

         이라고 쓰면 된다.

 

       * 남자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고하고 사후에는 考 라고

          한다.

          여자의 경우 비 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母 라고하며  사후에는 비라고 한다.

 

       * 여자의 경우 孺人 다음에 본관성씨를 쓴다.

 

       * 양위 지방일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  우측에 여자 지방을 쓴다.

         삼위의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지방  중앙에 본비의 지방  우측에 후처의 지방을 쓴다.

   

       * 지방 견본을  예시 하였으니 참고 하시고  녹색 부분만 해당 성씨로 고쳐쓰시면 됩니다

 


  
 ※ 축문 쓰는 법


축문은 神 앞에 고하는 글이며, 그 내용은 제위분께 간소하나마 제수를 차렸으니

흠향하시라는 뜻을 담습니다.
그러므로 요즘에는 한문의 뜻을 풀이하여 알기쉽게 한글로 쓰기도 합니다.  
축문의 규격은 가로 24cm, 세로 36cm 의  깨끗한 백지에 씁니다.
벼슬이 있을 때의 호칭은 지방을 쓸 때와 같습니다.  學生대신에 관직명으로,
그 부인은 孺人(유인)대신에 貞敬夫人(정경부인)등을 씁니다.  
명절에 지내는 차례에는 축문을 쓰지 않습니다.

 

 

 

한문 축문의 예(부친제사)

초록색 부분은

고쳐 쓰도록 한다

       

       ※ 한글 축문의 예

일 효자 아무개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 어머님, 해가 바뀌어서
아버님의 돌아가신 날이 다시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과 하늘같이 크고
넓은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축문쓸 때 알아둘 점
 
  ◑
維(유) ; 이어서 내려오다.
  ◑ 歲次(세차) ; 해의 차례.
  ◑ 干支(간지) ; 간지는 천간지지 육십갑자의 그해의 태세를 쓴 것이며 그 예로 금년이 

      병술(丙戌)년이면 병술(丙戌)이라고 씁니다.

  ◑ 某月(모월) ; 제사날을 따라 쓰며 제사달이 정월이면 正月 8월이면 八月(팔월)이라

      씁니다.

  ◑ 干支朔(간지삭) ; 제사달의 초하루라는 뜻으로 제사달 초하루의 일진을 씁니다. 
       예를 들면 초하루 일진이 丁亥 (정해)이면 丁亥朔 (정해삭)이라 씁니다.

  ◑ 某日(모일) ; 제사날을 쓴것이며 제사날이 15일이면 그대로 十五日(십오일)로 씁니다.

  ◑ 干支(간지) ; 그 제사날의 일진을 씁니다. 예를 들면 15일이 제사날이고, 15일의 일진이

      甲子(갑자)이면 甲子(갑자)라고 씁니다.

  ◑ 敢昭告于(감소고우) ; 삼가 밝게 고한다는 뜻으로 妻喪 (처상)에는 敢(감)자를 버리고 

      昭告于(소고우)만 쓰며, 아우 이하는 다만 告于(고우)만 씁니다.

  ◑ 예제 축문은 양친이 별세한 경우 부친 제사의 축문이며, 모친제사의 경우에는,

      청색글의 顯考(현고)를  顯비(현비,비:죽은어미비字)로 고쳐 씁니다.

  ◑ 부부중 한쪽이 살아 계신 때에는 顯考學生府君 (현고학생부군) 혹은

      顯비孺人ooo氏 (현비유인ooo씨)중 한쪽을 쓰지 않습니다.

  ◑ 조부모 제사의 경우는 顯考(현고)를  顯祖考(현조고),  顯비(현비)를 顯祖비(현조비)로

       고쳐씁니다.

  ◑ 증조부모 제사의 경우는 顯考(현고)를 顯曾祖考(현증조고),  顯비 (현비)를

      顯曾祖비(현 증조비)로 고쳐 씁니다.
 ◑ 고조부모 제사의 경우 顯考(현고)를 顯高祖考(현고조고),  顯비(현비)를

      顯高祖비(현고조비)로 고쳐 씁니다.

  ◑ 孝子이름은 겸양의 표현으로 조금 작게 씁니다.

 

 

'☞역사·족보·전통 > 전통 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 쓰는 법   (0) 2017.11.28
축문 용어 해설  (0) 2014.11.26
차례 축문(설,한식,추석 등)  (0) 2009.09.28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   (0) 2009.03.19
나이에 대한 호칭  (0) 2009.01.3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