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자투각칠보문향로, 청자어룡형주자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by 산과벗 2006. 2. 14. 09:18

본문


청자투각칠보문향로(靑磁透刻七寶文香爐)

국적/시대 한국(韓國) / 고려(高麗)
재질 도자기(陶磁器) / 청자(靑磁)
크기 전체높이: 15.3 cm / 지름: 11.5 cm
지정구분 국보(國寶) 95호
용도기능 사회생활(社會生活) / 의례생활(儀禮生活) / 제례(祭禮) / 향로(香爐)
문양장식 물상문(物象文) / 칠보문(七寶文)
참고문헌 * 명품도감, 국립중앙박물관 편, 삼화출판사, 1985, 도109
소장기관 국립1(國立1) / 중앙(中央)

상세설명
국화잎 모양의 꽃받침에 얹힌 중판앙화형(重瓣仰花形) 화로와, 칠보 매듭 무늬를 투각한 구형 장식이 얹힌 6능화형 뚜껑으로 이루어졌다. 화로는 6판화형(六瓣花形)으로 받쳐져 있고 이것은 다시 토끼 모양의 3족으로 받침된 3능화형 대 위에 얹혀 있다. 뚜껑 가운데에는 둥근 구멍이 있어서 향의 연기가 이 구멍을 지나 투각 구형으로 새어나오게 되어 있다. 칠보문 투각의 꽃술 부분에는 하나하나 원점(圓點)이 백상감되었는데, 이는 상감 기법의 발상기의 모습으로 생각된다. 화로를 감싼 꽃잎에는 도범(陶范)으로 찍어낸 엽맥이 도드라져 있고 토끼 모양 3족의 눈에는 검은 점이 찍혀 있으며 3족 대반(臺盤) 둘레에 당초문이 음각되었다. 유조(釉調)는 아주 맑은 회청색이며 뚜껑 받침의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면 빙렬(氷裂)을 거의 볼 수 없다. 규사(硅砂)눈 자국이 3족 대반 바닥에 네 군데, 뚜껑 받침 바닥에 세 군데 남아 있고 3족 대반 가운데에 구워낼 당시에 생긴 커다란 균열이 한 군데 있다. 12세기 전반 고려시대의 공예적 세련미를 잘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다.


청자어룡형주자(靑磁魚龍形注子)
유물명칭 청자어룡형주자(靑磁魚龍形注子)
국적/시대 한국(韓國) / 고려(高麗)
재질 도자기(陶磁器) / 청자(靑磁)
크기 전체높이: 24.4 cm / 뚜껑높이: 5.3 cm / 몸통지름: 13.5 cm
지정구분 국보(國寶) 61호
용도기능 식(食) / 음식기(飮食器) / 음식(飮食) / 주전자(酒煎子)
문양장식 동물문(動物文) / 용문(龍文), 동물문(動物文) / 어문(魚文)

소장기관 국립1(國立1) / 중앙(中央)

상세설명
물고기 모양의 몸체에, 연꽃 봉오리와 연잎이 달린 줄기를 모아 엮은 모양의 손잡이가 달려 있다. 물고기는 양각된 겹꽃잎 연화좌 위에 배를 대고 꼬리를 힘차게 틀어올린 모습인데, 입으로 물을 붓도록 되어 있고 꼬리 부분은 뚜껑이다. 물고기의 머리가 마치 용의 머리처럼 보이므로 어룡(魚龍)이라 불러왔으며, 황해에 사는 물고기의 일종인 호가 이러한 모습과 비슷하다고도 전해진다. 물고기의 머리 밑에 날개와 같은 큰 가슴지느러미가 양각되었고 온몸에 비늘이 정성스럽게 양각되어 있으며 튀어나온 배지느러미에는 음각선으로 연골을 그려 넣었다. 지느러미와 연꽃 봉오리, 연잎의 끝에 백토(白土) 점과 선이 장식되어 있고 물고기의 눈에는 자토가 찍혀 있어 생동감을 준다. 조금 어두운 편인 비색 유약이 전면에 입혀져 있고 빙렬(氷裂)은 없다. 뚜껑과 몸체가 닿는 부분 및 굽 바닥은 태토가 드러나 검붉은 빛을 보이지만 굽 안쪽 바닥에도 유약을 입혔다. 꼬리의 끝부분은 떨어져 나가 원형을 잃은 상태이다.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청자 가마터에서 이러한 유형의 파편들이 발견된다
출처 : 가마터 | 글쓴이 : 가마지기 [원문보기]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