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미꽃의 전설
할미꽃은 세 딸을 키워 시집보낸 할머니의 애뜻하고 슬픈사랑이 서려있답니다.
사랑의 굴래,슬픈사랑 이란 꽃말을 지니고 있답니다.
옛날에 세 딸을 둔
할머니가 살고 있었습니다.
세 딸은 무럭무럭 잘 자랐습니다.
할머니는 딸들이 크는 것이 단 하나의 기쁨이었답니다.
남편을 일쩍 여의었지만, 할머니는 무럭무럭 크는
세 딸을 보면서 오늘까지 살아왔습니다.
어느덧, 딸들은 시집을 가야 할
나이가 되었습니다. 할머니는 먼저 큰딸에게 좋은 신랑을 정해주려고
애를 쓰다가 드디어 신랑을 정했습니다.
키도 크고 건강한 남자와 짝을 지어 주었던 것입니다.
할머니는 너무너무 기뻐서,잔칫날에 덩실덩실 춤을 추었습니다.
딸이 잘살라고,깨·팥·찹쌀 따위를 한 줌씩 정성껏 챙겨 주었습니다.
그리고 시집올 때 가지고 온 할머니의 고운 옷감도 주었습니다.
그저 잘살기만을 바라면서······.
큰딸은 건넛 마을로 시집을 갔습니다.
이제 둘째 딸의 차례입니다.
할머니는 이 둘째 딸도 남부럽지 않게
시집을 보내기 위해 열심히 일을 하였습니다.
밤늦게까지 밭일도 하고,쌀도 아껴 먹으며, 둘째 딸 시집가서
흉잡히지 않게 하려고 열심히 하였습니다.
마침내 둘째 딸도 시집갈 날이 왔습니다.
할머니는 첫째 딸을 시집보낼 때처럼 기뻤습니다.
이번에 보는 사위도 큰사위 못지않게 튼튼하고 건강합니다.
할머니는 할아버지가 너무약했기 때문에 튼튼하고,건강한 사위만을
골랐던 것입니다. 둘째 딸 시집가는 날도 굉장히 성대했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와서 국수나마 함께 나누어 먹을 수 있었으니까요.
할머니는 그저 아무 탈 없이 잘 살아 주기만을 바랐습니다.
둘째 딸을 무사히 시집보낸 할머니는
기쁨과 허탈 때문에 그만 자리에 몸져누웠습니다.
이제 남은 딸은 막내딸 하나입니다.
두 딸을 시집보내고 나니,집에 남은 것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반반한 것은 모두 두 딸에게 들어가고
몇 마지기 되던 논도 거의 팔아 버렸습니다.
이제 할머니에게 남은 것이라고는 밭 몇 두렁 밖에 없었습니다.
먹고사는 것은 단 두 식구라 그런 대로 꾸려 가겠지만,
막내딸을 보면 할머니는 저절로 한숨이 나왔습니다.
“쯔쯧,저것도 언니들처럼 해주어야 할 텐데·····.
그러나 할머니는 이제 힘이 없었습니다.
막상 자리에 몸져눕게 되니 막내딸 걱정뿐 이었습니다.
“저것을 시집보내야 할 텐데·······
할머니가 아프니,자연 막내딸이 밭일 논일을 해야 했습니다.
마음씨 착한 막내딸은 아무런 불평도 없이 몸져누운
어머니를 봉양하고 열심히 일을 하였습니다.
마침내 막내딸도 시집을 가게 되었습니다.
할머니는 몸져누운 채 막내딸의 결혼식을 맞이하였습니다.
큰딸,작은딸처럼 결혼식 준비를 못하였습니다.
내가 움직일 수만 있었다면···
할머니는 한없이 슬펐습니다.
먼저 시집간 두 언니의 도움으로 결혼식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할머니는 후유 한숨을 몰아쉬었습니다.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었습니다.
그저 막내딸의 혼수를 자기 손으로 마련해 주지 못한 것이
한이었지만,그런 대로 남부끄러운 결혼식은 아니었습니다.
할머니는 그것으로 만족했습니다.
막내딸이 시집을 가던 날,할머니는 간신히 지팡이를 짚고
집 앞 언덕까지 올라갔습니다.
어머니,안녕히 계셔요.”
마음 착한 막내딸은 몇 번이고 돌아다 보며
떨어지지 않는 걸음을 옮겼습니다.
막내가 떠나간 지도 어언 석 달,
할머니는 시집간 딸들이 보고 싶었습니다.
이제 아픈 몸도 좀 나은 것 같아,
할머니는 딸들이 사는 모습을 볼 겸 집을 나섰습니다.
봄볕이 따뜻합니다.
할머니는 먼저 큰딸네 집으로 갔습니다.
벌써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된 큰딸은 반갑게 맞아 주었습니다.
그러나 일 주일이 가고 보름이 지나자,
큰 딸의 태도는 달라졌습니다.
할머니가 아주 자기 집에 살러 온 줄 알았습니다.
대접도 시원찮아지고,대하는 태도도 달라졌습니다.
할머니는 큰딸네 집에서 떠나야겠다고 생각 했습니다.
할머니는 짐을 챙겨 가지고 작은딸의 집으로 떠났습니다.
“더 계시지 않고···
큰딸은 대문 앞까지 따라 나와 말렸으나,
할머니는 지팡이를 짚고 다시 작은딸의 집으로 갑니다.
작은딸도 반갑게 맞아 주었습니다.
버선발로 뛰어나와 할머니를 맞이하였지만,
일 주일이 가고 보름이 지나니,큰딸과 마찬가지였습니다.
할머니는 또다시 봇짐을 머리에 이고
막내딸을 찾아 나서기로 결심하였습니다.
두 딸에게 괄시를 받은 할머니는
막내딸만은 그렇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고,
둘째 딸의 집에서 나왔습니다.
바람이 몹시 차가웠습니다.
어느덧 12월. 차가운 바람을 안고,
할머니는 막내딸을 찾아갑니다.
막내딸의 집은 두 딸과
산 하나 너머에 있었습니다.
별로 높은 산은 아니지만 할머니에게는 높은 산이었습니다.
숨이 찼습니다. 다리가 휘청거렸습니다.
조금만 더 가면 고개가 보입니다.
그 고개에 오르면 막내딸이 살고 있는 집이 보입니다.
할머니는 막내딸을
빨리 만나고 싶었습니다.길을 서둘렀습니다.
“순아야······"
고개에 오른 할머니는 성급하게도 막내딸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그러나 그 소리가 들릴리 없습니다. “
순아야.......“순아야······."
할머니는 너무나 숨이 차서 고개에 쓰러졌습니다.
"순아,순아!-"
하고 막내딸의 이름을 부르다 부르다 그만 잠이 든 것입니다.
영영 세상을 뜨신 것입니다.
이 소식을 들은 막내딸은 할머니를 양지바른 곳에
묻어 주었습니다.
그 다음해 봄,
할머니의 무덤에 돋아난 꽃이
곧 할미꽃이었습니다.
할미꽃
실내에서 즐기는 꽃은 아열대 원산이 많다. 행운목,아이비,스킨,홍콩야자 같은 관엽식물류나 란 종류를 예로 들 수 있다. 실내환경이란 것이 햇빛이적고 덥기 때문에, 더운 아열대지방의 큰 나무의 그늘아래서 자라는 식물이 잘 적응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수입품종이라는 것이 마음에 걸린다. 그래서 화훼시장에서 우리나라 원산을 찾아보면 정원수나 자생식물을 볼 수있다. 그 중에서 꽃색깔이 검은 자주색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꽃이 하나있다. 흰 털을 잔뜩 뒤집어 쓴 꽃대와 잎이 땅속에서 나와 꽃이 한쪽으로 구부러진 채 피는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이다. '뒷동산의 할미꽃 호호백발 할미꽃 젊어서도 할미꽃 늙어서도 할미꽃'이란 동요가 생각난다. 전래동화집에도 할미꽃에 얽힌 이야기가 나온다. 두 손녀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이 가슴아픈 할미꽃은 낮은 산지나 양지바른 잔디밭, 남향의 모 등성이 같은 약간 건조하거나 척박한 땅이어도 양지이기만 하면 잘 자란다. 그래서 꽃말이 슬픔, 추억인가 보다.
왜 할미꽃일까 ? 할머니의 허리처럼 고개가 아래로 구부러진 꽃모양 때문일까? 바로 할미꽃 날개씨 모양 때문이다. 4∼5월 경 꽃이 핀 후 꽃잎이 떨어지고 나면 그 자리에 암술날개가 하얗게 부풀어져 마치 백발 노인이 머리칼을 풀어헤친 모양이 된다. 그래서 할미꽃을 백두옹(白頭翁)이라 하기도 한다.
할미꽃의 꽃과 꽃가루에는 독성이 있어 옛날에는 아이들이 이 꽃을 만지지못하게 했다. 특히 뿌리는 독성이 강해 시골농가에서 재래식 변기 속에 넣어 여름철 벌레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 정도였다. 한방에서는 할미꽃을 노고초,백두옹이라 하며, 진통·지혈·소염 등에 다른 약재와 함께 쓴다.
요즘은 할미꽃을 관상용으로 심는 이가 많아졌다. 이른 봄, 봄소식을 먼저 전해 주는 꽃으로, 건조해도 잘 자라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키울 수 있다. 그러나 햇빛과 뿌리관리는 잘 해주어야 한다. 자생식물이기 때문에 햇빛을 충분히 받게 해주어야 하며, 뿌리를 다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시장에서 자생식물을 취급 하는 매장이 있어 지금 막 꽃대가 올라오기 시작한 분을 3.000원 부터 구입할 수 있다. 할미꽃은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뿌리가 계속 살아있기 때문에 계속 키 울 수 있다. 이미 키우고 있다면 5월에 하얗게 부푼 씨앗을 채집하여 정원이나 화분에 심는 것도 좋다. 물빠짐이 좋고 비옥한 흙에 심어 거름이라도 주면 꽃도 많이 피고 뿌리도 더 잘 자란다. 실내에서 항상 보는 시원한 관엽식물 말고, 할미꽃을 베란다 양지쪽에 놓고 들여다보는 것은 어떠할까. 보기만 해도 그리움에 가슴이 뭉클해지는 시간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