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4일(목)
◯ 주제 : 한국의 불교분화
◯ 강사 : 정영호 교수/문학박사,단국대학박물관장
◯ 내용
▶ 탑파(塔婆)
탑파(탑婆)는 탑(塔)이라고도 하고 스투파 라고도 한다.
탑파의 원음은 신골(身骨)을 담고 토석을 쌓아올린 불신골(佛身骨),진신사리
(眞身舍利)를 봉안하기 위한 축조물로서 비롯 되었다 하겠다.
- 석거모니가 죽은후 화장, 수많은(8말4되) 사리(舍利)가 나옴. 8개국이 나누어
각기 탑을 세우니 이를 분사리(分舍利)라고 함. 사리 신앙은 이때부터 시작
되었고 따라서 불탑(佛塔)의 기원 역시 이때부터라 하겠다.
▶ 불상(佛像)
불상(佛像)은 1~2세기경 간다라와 마투라지방에서 조성되었다.특히 간다라 불상
양식은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옴.
불상(佛像)은 조성된 材料와 形態에 따라 金銅佛,靑銅佛,鐵佛,金製佛,石佛,磨崖
佛,入佛,立像,坐佛,坐像,涅槃象, 등으로 크게 나누고 우리나라는 현재 이와 같은
모든 불상이 남아있음.
- 삼국시대의 불상으로는 금동상이 많으며 대체로 삼존불의 형식을 취함.
- 석불은 통일신라시대에 많이 조성되었으며,그 절정은 경주 토함산의 석굴암,
본존여래좌상 이라 하겠다.
- 경주 남산(南山)은 골짜기 바위바다 마애불이 있고 보망이 좋은곳에 석불이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경주 남산(南山)을 미술의 보고(寶庫)라 부름.
▶ 부도(浮屠)
일반적으로 부도(浮屠)라 함은 승려의 묘탑(墓塔)을 말한다.
부도는 고금을 막론하고 그의 화강암으로 건조하였는데 이 석조물에서는 건축
적인 요소 이외 각종 조각,표면의 장식,문양 등이 있어 조각품이기도 함.
- 진전사,도의국사부도,연거화상탑,쌍봉사철감선사탑 등이 통일신라 시대의 대표
적인 부도이며,
- 부도(浮屠)의 전형 양식은 下台石,중태石,上台石 등의 기단부는 물론이고 탑신
부,옥개석,상륜부재까지 모두 8각형으로 조성.
- 고려 시대에는 팔각원당 형에서 벗어나 평면이 사각형 혹은 원형으로 이루진
것도 간혹 보임. 이러한 부도물을 특수형이라 일컫고 있음.
▶ 탑비,부도비(塔碑,浮屠碑)
부도(浮屠)에 부속된 석비(石碑)로 탑비(塔碑)가 있다.
오늘날 유물을 보면 석비가 다수를 차지,그러나 탑비의 유래는 9세기 이후인
신라하대와 고려시대에 속하는 것 들이 대부분임.
- 신라의 9세기 대표적인 탐비로 국보로 지정 보존되고 있는 충남 보령의 성주사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와 경남 하동 쌍계사의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등이 우수한 대작으로 꼽힘.
▶ 석등(石燈)
등불을 장치하기 으ㅟ한 석조등기(石造燈器)를 말한다.
신라 진성여왕에 건립된 개선사 石燈(보물11호), 전남 담양 남면 학선리 명기에
서 건립석등(建立石燈) 이란 명문을 볼 수 있고 고려 선종에 건조한 나주서문석 (羅州西門石燈:보물164호)드이 있으며 밖에도 법주사 연등각 등이 있다.
- 기록으로 보면 통일신라시대이래 석등이 건조 되었으며,현재까지 조사에 의하
면 주로 사찰(寺刹)과 능묘(陵墓),유적지(遺蹟地) 등에서 찾아볼수가 있음.
▶ 기타(其他)
- 한국미술의 종류 : 건축,조각,회화,공예,
불교적 목조석탑,석조건축물이 85%차지
- 유학 : 공자, 그리스도교 : 예수, 불교는 석가모니가 교주.
- 석가는 인도어 “샥가”가 중국어로 번역된글이 “석가”이며, “머니”를
“모니”로 번역 “석가모니”가 된 것이다.
- 석탑(石塔)은 한국의 묘탑적 건축물이다. 일본은 목탑(木塔), 중국은 전탑.
- 관불행사 : 부처님 목욕시키는 행살르 말한다.
- 일본은(552년~538년) 백제로부터 불교를 들어옴.
- 인도 녹야원에서 청춘설법(보리수 아래서) 석거모니 돌아가신 자리에 9.2m
불상을 세움.
- 백제가 멸망후 유민들 700여명 일본으로 들어감.민족의 한이서려 7.5m의
석가탑을 세움. 일본은 백제로부터 불교을 들어옴.
10월9일---한국인의 건축의식 (0) | 2009.10.14 |
---|---|
10월1일---한국의 풍수지리 (0) | 2009.10.07 |
9월17일---가야사의 제 문제 (0) | 2009.10.07 |
9월11일---해인사 문화유적/고령 고분군 답사 (0) | 2009.10.07 |
9월3일---민속해설 방법론 (0) | 2009.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