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ISO란 무엇인가? 앞서 ISO와 조리개에 대해 알아봤으니 셔터속도만 공부하면 빛을 제어하는 삼총사를 다 공부한 것이다! 사실 지금 근무중이지만 잠이 와서 무슨 말을 적는지 잘 모르겠다..
|
먼저 셔터 속도란, 말 그대로 셔터가 움직이는 속도를 뜻한다. 이에 대해 네이버 사진용어사전에 적절한 비유를 찾을 수 있었는데 물을 담기 위해 수도꼭지를 여는 정도를 ‘조리개’라고 한다면 열어두는 ‘시간’이 셔터속도인 셈이다. |
예를들어 셔터 속도가 1/4000이라면 1초를 4000으로 나눈 매우 짧은 시간동안 셔터가 움직인다는 뜻이다. 반대로 셔터가 1초 이상의 시간으로 움직인다면 1", 2", 3" 이런식으로 표기되며 어두운 상황에서 사용하게 된다. |
셔터속도를 조절하는 주된 용도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표현할때인데, 셔터 속도가 빨라질수록 피사체가 멈춰있는 것처럼 표현되고 느려질수록 피사체의 잔상이 담겨 흐르듯 표현하게 된다. |
또한 셔터속도가 일정 수치이상 낮아지게 되면 사진 전체가 흔들려 찍히는 손떨림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50mm의 렌즈로 촬영한다면 셔터속도를 1/50초 보다 빠르게, 30mm의 렌즈로 촬영한다면 1/30초 보다 빠른 셔터 속도로 촬영하여야 이러한 현상을 줄일 수 있다. |
카메라 바디나 메뉴에 보면 ISO라는 것이 있다. ISO란 무엇인가? 용도는? |
ISO란 '감도'이다. |
그런데 이 ISO가 도대체 무엇의 줄임말인지 도통 찾아봐도 명확히 설명해 놓은 곳이 없더라..(의미도 모르고 마구잡이로 단어를 막 쓰는 것을 굉장히 싫어함.) |
그래서 검색에 검색을 거듭하다보니.. 줄임말이긴 줄임말이었는데, 카메라에 관련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아는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
그럼 왜 감도 앞에 ISO를 붙이는고 하니.. |
과거 1980년대까지만 해도 카메라의 감도에 대해 미국은 ASA(American Standards Association)라는 규격을,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에서는 DIN(Deutsche Industrie Normen) 규격, 그리고 구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에서는 GOST(GOsudarstvennyy STandart)규격을 사용했다고 한다. |
그래서 이런 다양한 규격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한 규격이 ISO인 것이다. |
디지털 카메라(필름 카메라를 제외한 모든 카메라)의 경우 이미지센서가 어느정도의 감도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ISO 수치가 정해진다. |
(카메라 제원에 보면 ISO100~25600 이런 식으로 감도 범위가 표기되 있을 것이다) |
ISO 감도의 조절에 따른 변화는 |
-ISO가 높을수록 사진은 밝아진다. 하지만 화질은 저하되고 노이즈가 많아진다. |
-ISO가 낮을수록 사진은 어두워진다. 하지만 화질이 좋아지고 노이즈가 적어진다. |
이러한 특징을 알면 야간이나 주간 모두 원하는 사진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 |
물론 사진의 밝기와 화질, 노이즈를 조절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더 있지만 이번에는 ISO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
카메라 모드별 기능 (0) | 2019.02.15 |
---|---|
촬영 상황별 조리개 값 (0) | 2019.02.14 |
SD메모리카드 고르는 법 (0) | 2019.01.23 |
노출이란 무엇인가? (0) | 2018.11.02 |
렌즈의 화각이란? (0) | 2018.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