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상감당초문완 [국보 115호]
고려 청자의 전성기때 만들어진 청자대접으로 높이 6.05㎝, 입지름 16.8㎝, 밑지름
4.4㎝이다.
고려 의종 13년(1159)에 죽은 문공유의 묘지(墓誌;죽은 사람에 대한 기록을 적은 글)와 함께 경기도 개풍군에서
출토된 것인데,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굽부분이 좁고 아가리가 위로 벌어진 형태인데, 굽에서
아가리에 이르는 선은 완만한 선을 이루고 있다. 대접의 안쪽 가운데에는 원을 그리고, 그 안에 큰 꽃무늬를 새겼는데, 바탕을 백토(白土)로
상감하는 역상감기법을 쓰고 있다. 아가리 주위를 제외한 그릇 안쪽은 온통 덩굴무늬로 자유롭게 메우고 있다. 대접의 바깥쪽은 안쪽의 아가리 부분과
똑같은 문양으로 장식하였으며 중심부 5곳에 국화 한송이씩을 두고 있는데 꽃은 흰색으로, 잎은 검은색으로 상감하였다. 안쪽면이 모두 백상감된
단색인데 비해 바깥면의 호화스러운 국화꽃무늬가 잘 조화되어 전성기 청자 상감에서도 드물게 보이는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작품이다.
회청색 계열의 비취빛 유약이 매우 맑고 고르게 씌어져 있어서 표면의 색조가 은은하고 상감효과도 한층 돋보인다. 이 대접은 12세기
중엽 고려청자의 상감기법이 발달하는 과정과 수준을 잘 보여주는 귀중한 작품으로서 고려청자 상감사를 연구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자료이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청자철채퇴화점문나한좌상 [국보 173호]
1950년대 강화도 국화리에서 발견되었는데, 당시에 여섯조각으로 부서져 있던 것을
복원시켜 놓은 것이다.
바위 모양의 대좌(臺座) 위에 팔짱을 낀 채 작은 책상에 의지하여 오른쪽 무릎을 반쯤 일으켜 세우고 앉아
고개를 약간 숙이고 있다. 눈은 반쯤 뜨고 있는데, 눈썹과 눈이 수려하고 코는 오똑하다. 머리와 옷주름 일부, 눈썹, 눈동자, 바위대좌 등에는
철분이 함유된 검은색 안료를 군데군데 칠하였으며, 옷의 주름가에는 철분이 없는 백토를 사용하여 도드라진 점을 찍었다.
이 작품은
사색하듯 숙연히 아래를 내려다보는 자세와 책상, 바위대좌의 처리 등에서 고려시대 공예조각을 대표할 수 있는 걸작이라고 할 만하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청자상감용봉모란문개합 [국보 220호]
고려시대 만들어진 뚜껑있는 청자대접으로 높이 19.3㎝, 아가리 지름 18.5㎝, 밑
지름 6.8㎝이다.
뚜껑과 받침, 수저가 완전하게 갖추어진 유물로서, 뚜껑에 다람쥐 모양의 꼭지를 만들었다. 다람쥐를 중심으로 그
아래에 흑백상감의 겹 연꽃무늬 띠와 물결무늬 띠를 두었고 그 밑으로 봉황과 용이 새겨있다.
그릇 안에 수저를 꽂았을 때 뚜껑과
사발의 사이가 뜨지않도록 뚜껑의 한쪽 귀퉁이에 홈을 파 놓았으며, 대접 아가리의 가장자리에는 번개무늬 띠를 두르고 그 아래로 학과 구름무늬를
규칙적으로 새겼다. 표면에는 두 겹의 원을 그리고, 그 안에 모란을 흑백상감으로 장식하였으며 나머지 여백은 국화 무늬로 메우고 있다. 유약은
부분적으로 황록색을 띠지만 대체로 맑은 편이다.
뚜껑, 대접, 받침 전면에 걸쳐 상감되어 있는 문양 표현이 돋보이며, 당시의
상감문양이 거의 망라되어 있어 이 유물이 왕족 계층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청자양인각연당초, 상감모란문은구대접 [국보 253호]
고려시대에 만든 청자대접으로 아가리 언저리에 은테두리가 있으며, 크기는
높이 7.7㎝, 아가리 지름 18.7㎝, 밑 지름 6.3㎝이다.
안쪽 면에는 연꽃 덩굴무늬를 도드라지게 찍고, 바깥 면에는 모란을
간략하게 상감하여 서로 다른 기법으로 내·외면에 문양을 넣는 방식을 취했다.
안쪽 면 중앙에는 원이 있고 그 안에 꽃무늬가 있으며
옆면에는 연꽃 덩굴이, 아가리 언저리에는 덩굴무늬 띠가 둘러져 있다. 바깥 면에는 중앙 세 곳에 모란무늬가 흑백상감 되어 있다. 유약은 약간
반투명한 담청색을 띤 회녹색이다.
이 대접은 안쪽과 바깥 면에 서로 다른 기법으로 새기는 방식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것은
상감청자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전에 한 면에만 상감기법을 사용한 순청자 양식과 상감청자와의 혼합양식을 보여주는 유일한 유물로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 [국보 254호]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매병으로 높이 43.0㎝, 아가리 지름 6.3㎝, 밑 지름
15.3㎝이다.
고려 중기의 전형적인 형태로서 다소 넓은 아가리와 적당하게 팽창한 어깨 부위, 어깨 선이 몸체의 선과 이상적인
조형을 이룬다. 유약은 담록색을 띠며 비교적 투명하고, 가는 빙렬이 있다. 뚜껑의 위부분에 있는 무늬는 간소하며 측면에 있는 연잎무늬가 3곳으로
나뉘어 간결한 필치로 새겼다. 몸체의 중심부 4곳에 연꽃무늬를 간결하게 새겼다.
현존하는 매병 가운데 뚜껑과 밑짝을 한 벌로 갖춘
유일한 것으로, 당당한 조형과 세련된 문양을 지닌 12세기 전반기의 독보적인 작품이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청자모자원형연적 [국보 270호]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연적으로,크기는 높이 9.8㎝, 몸통 지름 6.0㎝이다.
어미 원숭이 머리 위에는 지름 1.0㎝ 정도의 물을 넣는 구멍이, 새끼의 머리 위에는 지름 0.3㎝인 물을 벼루에 따라내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연적임을 알 수 있다.
두 원숭이의 손가락과 발가락은 그 사이사이를 파내어 도드라지게 표현하였고, 어미 원숭이의
눈, 코와 새끼 원숭이의 눈은 검은 색 안료로 점을 찍어 나타냈다. 어미 원숭이의 엉거주춤한 자세, 보채는 새끼의 모습을 통해 원숭이 모자의
사랑을 재미있게 묘사하였다. 유약은 잘 녹아 투명하고 잔잔한 기포가 전면에 있어 은은하고, 표면의 색깔은 아름다운 비취색이다.
1146년에 제작된 청자과형화병, 청자합과 유약 색이 동일하여 12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청자 연적 중
원숭이 모양의 연적은 드물며 더욱이 모자(母子) 모양으로서는 유일한 예이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고려의 문화재 (0) | 2006.02.14 |
---|---|
국보 고려청자 감상 (0) | 2006.02.14 |
국보 문화재 순례 - 고려 청자 (0) | 2006.02.14 |
청자투각칠보문향로, 청자어룡형주자 (0) | 2006.02.14 |
묵향 속의 우리 문화유산 /③ 비색청자 (0) | 2006.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