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너무 눕히지 말고 낙필할때 밖으로 둥근 모양은 좋지 않다 하셨고
3, 원을 벗어 나지 않아야 하며
4, 너무 둔탁하지 않게
5, 밑으로 꼬부러 지지 않아야 하며
6, 처지게 하지 말고
7, 원에서 너무 찌그러지면 안되며
8, 또있나? 모르겠다~~~~ 살면서 차차 예기합시다^^
9, 흥! ㅎ 은 담에 설명^^
1, 정자의 잠두와 같이 확실히 만든 다음에 붓을 곧게 세워서 운필
2, 방향대로 붓을 놓고 세워서
3, 조심할 부분 이고요
4, 간격이 균일 하게 하며
5, 위로 약간 둥글게 엎는점으로..
6, 삐쳐 내는건 한번쯤 생각해 봐야 할 문제라 하셨어요^^
1, 각지게 세우고 알맞게 휘어지게 하며 봉안을 만드는 느낌으로 운필..
2, 좀더 흘려 쓸때는 실제로 봉안이 생기도록 구사 하기도 하고..
1, ㅠ 나 ㅛ 는 ㄹ 의 중간 가로획을 처리 하듯이 하며
아래 붉은 줄친부분 처럼 초ㅓㅇ 자음이나 받침 보다 작게 하는편이 귀여울것 같아요^^
2, 너무 강한것은 싫어요^^
2, 보통그림
3, 오히려 오른쪽을 길게 하기도 한답니다
4, 긴 ㅗ 획을 작고 가볍게 처리 하며
5, 시작은 작고 끝부분이 좀더 커야 한다시네요 각은 세워야 하고요^^
2, 각도대로 붓을 놓고
3, 허획이지만 약간 굵게 연결되어도 되고요
4, ㅣ 획의 꼭지는 짧게
5, ㄱ 에서 처럼 굵기가 같아야 하고
6, 잘못 쓰인 예
7, 공간을 넉넉아게 띄우며
8, 세로획이 안으로 들어가게 해야 한다고 강조 하셨습니다^^
9, ㅠ 획에서 가로를 길게쓰면 삐침은 짧게 가로가 짧을땐 삐침은 길게
2, 짧은 ㅣ획의 연결은 (ㅜ획과 받침 ㄱ이 다음 글자와 연결)가볍게 처리 해야~~무거우면 둔탁...
2, 어깨가 으쓱해 지지 않도록 해서 둥글게
3, 가로획이 이응을 덮어야 하며
4, 길이를 같게
5, 획속으로 연결
6, 떼고 쓸수도 있고..
7, 가로획에 완전히 접필이 되야 하며
8, 삐침획 길이의 중간쯤에서 연결 하고
번지거나 해서 너무 강하게 되지 않도록 해라고 말씀 하셨어요^^
2, 생각보다 넓게 그어 나가고
3, 바깥선이 둥글게 되도록 하며
4, 약간 왼쪽으로 기울어 지게 쓰기도 한데요^^
5, 강한 접필은 안좋아요^^
6, ㅍ의 척획은 짧은 가로획이구요
7, 각도를 조심
8, 둥글게 엎는점으로 처리
9, 약해지는건 싫데요^^
10, 확실히 접필이 되어져야 하며
11, 간격과 왼쪽끝 부분의 위치를 유의
12, 번져서 강해 져뿌렸따~~~안좋네!!!! 맨날 그렇지뭐~~^^
2, 연결부분 위치를 조심해야 하고요
3, 연결해서 긋는 법과 떼고 쓰는법 두가지래요^^
4, 공잔을 넉넉하게 전차도 감출수 있도록 하며
5, 펼처지듯이
6, 밑에 놈이 위에놈보다 넓다 하셨네요^^
7, 에고 못난 학생 가르친다고 나 수고했다 하셨네요
ㅋㅋ 글 올린다고 나도 수고했따~~~~~
구박이 어찌나 심하신지?
3년만에 선생님 당신꺼 다 훔쳐 가지 못하면 아예 붓 꺽어 뿌라 고 하시구요^^
등..등
할말 수없이 많지만~~선생님 인격을 생각해서라도 제가 참아야 되겠죠? ㅎㅎ
그래도 선생님 따랑해요^^(체본 해 주실때만 ~*^)
끝^^(설명이 많이 부족했던것 같아요 수정할 부분
있으면 수정해 올리겠습니다 감사^^)
漢代 이전의 초서조건 (0) | 2006.07.21 |
---|---|
초서의 종류 (0) | 2006.07.21 |
예서실기(예기비) (0) | 2006.07.21 |
예서를 처음 배을때 (0) | 2006.07.21 |
한자 서체의 종류(5체 중심) (0) | 2006.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