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서체의 종류 (5종)
2007.08.31 by 산과벗
서론이란 무엇인가?
표구(表具)의 역사
2007.08.30 by 산과벗
먹(墨)의 이야기
서예에 필요한 재료와 용구 및 그 사용법
서체의 역사와 기법
2006.09.18 by 산과벗
한국(韓國) 서예(書藝)사
중국(中國) 서예(書藝)사
* 한자 서체의 종류 (5종) 전서(篆書), 예서(隸書),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1. 전 서 (篆 書) 1)석 고 문 (石 鼓 文) 대전 자체(字體)의 가장 구체적인 작품이며, 중국역사상 가장 오래된 각석으로 북모양으로 다��은 돌에 세겨져 있다하여 석고 문이라 부른다. 돌의 수는 10개이고 표면에 700여..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7. 8. 31. 11:30
서론이란 무엇인가? 중국 고대 서론은 매우 방대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일곱가지의 명제는 심미론에서 출발하여 그 목적으로 삼고 있지만, 그 가운데에는 기법론과 창작론·감상론도 포함되어 있다. 첫째, <骨氣論>은 서예의 <形質>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으로, 중국 서예의 심미 원칙..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7. 8. 31. 10:55
표구(表具)의 역사 고대 표구의 발생은 작품 보존의 필요성과 장식의 요구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처음에는 찢어지거나 훼손된 작품을 보완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작품의 뒷면에 다른 종이를 오려서 보수하는 정도의 극히 초보적인 행위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세월이 흐르면서 점차 작품보존..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7. 8. 30. 18:40
먹의 이야기 먹은 무엇으로 만들어 지는가? 먹은 [그을음] [아교]를 반죽하여 향료를 조금 넣어서 만듭니다. [그을음]은 물건을 태우면 생기는 까만 탄소의 결정입니다. 양초나 석유난로의 불을 껏을 때 연기중의 까만 뿌연 물건을 본적이 있으시죠? 손끝으로 비비면 시커멓게 됩니다. 이것이 [그을음]입..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7. 8. 30. 18:29
*서예에 필요한 재료와 용구 및 그 사용법 서예를 학습하는데는 종이 먹 붓 벼루 이외에 서진 연적 인장 인주 붓걸이 등 여러 가지 용구와 재료를 필요로 한다. 이 가운데에 종이·붓·먹·벼루를 일러 문방사우(文房四友) 또는 문방사보(文房四寶)라 부르는데, 글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7. 8. 30. 18:24
서체의 역사와 기법 우리나라 서예는 한자가 전해진 고조선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되지만 남아있는 유물들은 삼국시대 이후의 것으로 금속재그릇이나 비석등에 새겨진 금석문(金石文),목판전적(木板典籍),법첩(法帖: 글자체와 필법의 본보기가 될만한 명필의 글씨들을 모아놓은책), 진적(眞蹟)..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9. 18. 18:20
한국(韓國) 서예(書藝)사 우리나라에 漢字가 들어온 시기는 紀元前 3~4세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확실한 자료는 전해지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書는 각 시대에 따라 왕희지, 구양순, 안진경, 우세남을 비롯하여 송·원(宋·元)의 소동파등의 書家들의 영향을 받아 발전 되었다. 1) 삼국시대(三國時..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9. 18. 18:14
중국(中國) 서예(書藝)사 중국 문자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는 그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남겨진 유물을 근거로 한다면 기원전 3,000년경 황하유역의 문자와 함께 시작한 결승(結繩)으로부터 언급된다. 이 결승은 그 이후 삼황(三皇), 오제시대(五帝時代)의 대희씨(代戱氏)가 창제했다는 팔괘(八卦)..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9. 18.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