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옥산 두타산/강원 동해

☞여행·가볼만한 곳/국내·계곡.폭포

by 산과벗 2007. 2. 28. 14:26

본문

청옥산 두타산


높고 깊은 산을 보려면 두타산(頭陀山·1352.7m)~청옥산(靑玉山·1403.7m)으로 가라. 신비로운 산세에 멋진 조망까지 더해지니 명산의 덕목을 이보다 더 갖춘 산이 또 어디 있겠는가. 동해 해수면보다 조금 높은 180m 저지대에서 1400m 안팎 높이 산정까지 올라야 하는 산행이 쉬울 리 없지만, 땀을 흘리고 거친 숨을 몰아쉬면서 산정에 오른 뒤에 오는 쾌감은 웬만한 산에서 맛볼 수 없는 것이다. 강원 내륙의 명봉 명산은 물론, 동해의 푸른 바다를 발 아래 두고 일망무제의 그 산정에 서 보시라.

피서 막바지 잔뜩 찌푸린 하늘 아래서도 무릉계는 빛을 발했다. 겉에서는 두루뭉실한 평범한 산이건만 안으로 들어서자 곧 달라졌다. 속옷은 화려했다. 무릉계 너래 반석에는 옥빛 물줄기가 흐르고, 숲 짙은 산사면 곳곳에 기암절벽과 암봉 암릉이 솟구쳐 반짝였다. 옛 사람들도 흥을 이겨낼 수 없었나 보다. 이런 무릉도원에서 영원히 살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에 반석을 쪼아 자기 이름 새겨 넣은 것을 보면―. 어린아이들도 산수(山水)를 즐길 줄 아는지 반석 옆 야트막한 소는 아이들이 덤벙대는 소리에 소란스럽다.

파고들수록 점입가경. 커다란 바윗덩이는 골짜기를 메우고, 물줄기는 바위 사이사이를 빠져나가 흐른다. 커다란 바위 사이에 와폭도 숨어 있고, 이무기라도 숨어 있음직한 짙은 소도 나타난다. 그러다 골이 갈라지면서 신비감은 더해간다. 좌측 박달골과 우측 바른골 초입은 ‘더 이상 올라오지 말라’는 뜻인양 위협적인 폭포를 일으켜 세우고, 그에 주눅들지 않고 한 걸음 더 들어서자 이번에는 거대한 협곡 아래 폭포가 또 다시 길을 끊어 버렸다. 여기서도 옛 사람들은 풍류를 버리지 않았다. 용추폭이라 이름짓고, 그 폭포 암벽에 또 자신들의 이름을 새겨놓았던 것이다.

폭포의 위세에 눌려, 아니 산 위에서 산 아래를 내려다보고픈 마음에 무릉계곡을 되내려서다 산성길로 접어들었다. 역시 ‘골때리는 산’이란 별명답게 끊임없는 된비알이다. 그러다가 숲이 터지면서 옛 모습 잘 간직한 두타산성과 더불어 무릉계 건너 관음암 일원의 기암절벽들이 고행에 보답하는 절경으로 눈앞에 펼쳐진다.

골짜기 안에 벌어진 산성12폭의 장엄함에 몇번이고 눈이 동그래진 다음 물줄기를 가로지르면 이젠 끝없는 오르막이다. 그렇지만 순간순간 숲이 터지면서 눈에 들어오는 두타산과 청옥산의 웅장함에 감탄하고, 바위턱 조망대에서 시원한 바람을 맞고 한 발 한 발 옮기다 보면 어느샌가 두타산 정상에 서고 말았다. 두타산정은 조망의 놀라움을 깨닫게 하는 뷰포인트(view point)였다. 남한 땅 어느 산에서도 보기 드물 정도로 부드럽게 휜 두타~청옥 능선, 그 동쪽으로 깊이 파인 무릉계, 무릉계 양옆으로 능선을 향해 뻗고 치솟은 암릉과 기암괴봉, 게다가 동으로 동해 바다가 내려다보이는가 하면, 반대쪽으로는 태백산을 향해 뻗은 기운찬 백두대간과, 가리왕산에서 오대산에 이르기까지 강원 내륙의 고봉준령이 일렁이고 있었다. 강원내륙의 고봉준령들이 ‘왕’의 행차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 산행 가이드
두타산~청옥산 코스는 삼화동 원점회귀 코스가 대표적이다. ‘골 때리는 산’이라는 ‘악명’도 이 코스에서 비롯했다. 해발 180m 삼화동 주차장에서 표고차 1200m 이상을 올려쳐야 산정에 올라설 수 있다. 완전종주시 산행 길이가 25㎞를 넘는다.

산행은 무릉계에서 산성터~대궐터를 거쳐 두타산 정상에 오른 다음 청옥산을 거쳐 연칠성령에서 바른골을 타고 무릉계로 내려서든지, 또는 두타산과 청옥산 사이의 박달령에서 박달골을 거쳐 무릉계로 내려선다. 청옥산에서 조망이 뛰어난 학등 능선길을 따라 문간재 위 바른골로 내려서기도 한다. 크게 돌면 9시간 이상, 박달골이나 학등 길로 내려서면 8시간 정도 걸린다.

삼척시내~하장면간 424번 지방도로가 가로지르는 댓재에서 두타산과 청옥산을 거쳐 고적대에 이르는 능선은 백두대간에서도 인기 높은 구간이다. 청옥산 직전 빠지면 삼화동까지 7시간, 고적대를 지나 갈림목에서 사원터를 거쳐 바른골~무릉계곡을 타고 삼화동으로 내려서면 8시간 정도 걸린다. 하장면 번천리 계곡 길은 두타산답지 않은 부드러움을 엿볼 수 있는 산길이다. 번천리계곡~문바위~두타산~산죽골~번천리계곡 원점회귀 코스가 대표적이다(6시간).

무릉계 탐방만을 목적으로 삼는다면 하늘문 길이 어울린다. 삼화사~관음암~하늘문을 거쳐 쌍폭과 용추폭을 탐승한 다음 무릉계곡을 거쳐 삼화사로 내려선다(약 2시간30분 소요). 두타산과 청옥산의 웅장함을 만끽할 수 있는 코스다. 두타산 북동쪽에 있는 쉰움산(五十井山·670m)은 두타산과 능선으로 연결돼 있으나, 등로보다는 하산로로 이용되고, 천은사를 기점으로 독립적인 산행이 이루어진다(2시간30분). 무릉계 입장료는 어른 15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600원. (033)534-7306~7.

산행코스
무릉계곡 - 두타산 - 박달재 - 청옥산 - 용추폭포
무릉계곡이 들머리다. 1,000m의 고도차를 올라 두타산에 오르고 청옥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산행을 할 수 있다. 산행의 시작과 끝에 만나는 무릉계곡에서 용추폭포 쌍폭 등의 시원한 폭포와 장군바위 병풍바위 선녀탕 학소대 등의 빼어난 자연경관을 볼 수 있다. 또한 천년 고찰 삼화사와 관음사도 볼거리다. 두타산을 가장 빠르게 오르는 길은 댓재에서 북쪽 능선을 따라 오르면 두타산이 나온다. 동해시 미로면의 천은사를 거쳐 쉰움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올라도 두타산에 오른다. 가장 쉽게 두타산을 오르는 길은 댓재에서 백두대간 능선을 따라 두타산에 오르는 것이다. 삼척시 하장면의 중봉골 상류로 청옥산을 오르는 길은 있으나 갈전국교 중봉분교에서부터 상류는 자연휴식년제를 하고 있어 입산금지가 실시되고 있다.
1) 매표소-무릉계곡-학소대-청옥산-박달령-두타산-무릉반석-매표소 (20km, 8시간 30분)
2) 무릉계곡-두타산성-두타산-박달령-박달골-삼화사-매표소 (16km, 7시간)
3)매표소(2.5km) - 산성갈림길(500m) - 두타산성(1km) - 787고지(1.4km) - 산성터(0.6km) - 주능분기점(1km) - 두타산정상(2.5km) - 박달재(1.5km) - 청옥산정상(1.5km) - 연칠성령(2km) - 칠성폭포(2km) - 문간재(3.1km) - 매표소 (19.6km 약9 -11시간 소요)


교통(지역번호 033)
1) 삼척 - 7번국도 - 6km - 좌회전 - 42번국도 - 해성주유소 - 무릉계곡
2) 동해시 효가 사거리 - 우회전 - 4.4km - 삼화동3거리 - 좌회전 - 5.3km - 무릉계곡 주차장
삼화동까지는 동해 고속버스·시외버스터미널이나 동해역 부근 버스정류장에서 노선버스가 수시 운행한다(06:30~21:00). 댓재는 삼척시외버스터미널(572-2085)에서 광동행 시내버스를 이용한다. 두타-청옥산은 열차산행지로도 이름 높다(동해역:521-7788). 동해 시외버스터미널 533-2020, 동해 고속버스터미널 531-3400~1

● 숙식
무릉계 입구 상가단지에 민박을 겸하는 식당 겸 가겟집이 여럿 있다. 4인 기준 2~3만원. 무릉회관 534-8194, 두타식당 534-8288, 영진회관 534-9116, 일출식당 534-7866, 반석상회 534-8382. 댓재 고갯마루 부근의 댓재휴게소(554-1123)도 식당과 매점, 민박을 한다.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