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미황사

☞산사를 찾아서/우리의 사찰

by 산과벗 2007. 9. 6. 10:35

본문

 자하루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파노라마)이 ...

미황사대웅전(美黃寺大雄殿  보물  제947호)

미황사 사적비(事蹟碑)에 의하면 의조화상(義照和尙)이 신라 경덕왕(景德王) 8년(749)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1592)으로 전화(戰禍)를 입은 후 조선 선조(宣祖) 31년(1598) 중창하였으며, 그후 영조 30년(1754) 중수하였다고 한다. 이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單層) 팔작집으로 외3출목(外三出目) 내4출목(內四出目)의 다포계(多包系) 포작(包作)집이다. 살미첨차(山彌첨遮)의 외부로 뻗은 앙서(仰舌)나 내부에서 판형(板形)으로 장식된 살미첨차들로 보아 조선 중기의 다포건축임을 짐작할 수 있다.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중앙에 '범(梵)'자를 선명하게 그렸고 처마는 겹처마이다. 막돌 허튼층쌓기 기단이며 전면에 괘불걸이 1쌍이 있고, 초석중(礎石中) 전면(前面) 4개와 측면 2개, 합(合) 6개는 연화문(蓮花文)을 조각한 둥근 초석으로 서남쪽 우주(隅柱) 초석은 연화문(蓮花文) 사이에 자라를 양각(陽刻)하였고 중앙향우측(中央向右側) 평주(平柱) 초석(礎石)은 게와 자라를 양각하여 특이하며 후면(後面)과 측면의 기타 초석은 자연석 초석이다. 기둥은 배흘림이 약한 원주(圓柱)이며 기둥머리에는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결구(結構)하였는데 전면 중앙간 좌우 평주 머리에는 안초공(按草工) 형식의 부재를 끼워 외부로는 용두를 조각하고 내부는 연화문을 초각(草刻)하였다. 공포(공包)는 외3출목, 내4출목 전 ·후면에는 공간포(空間包) 2조(組)씩을, 측면에는 1조(組)씩을 두었다. 초제공(初諸工), 이제공(二諸工), 삼제공(三諸工)의 외부는 세장(細長)한 앙설형(仰舌形)으로 조각되었고 쇠서의 밑부분에는 연봉이 조각되었다. 산미(山彌)의 외부는 날카로운 수설형(垂舌形)으로 되었고 운공(雲工)은 봉두(鳳頭)가 조각되었다. 각 제공의 내부는 한 몸처럼 연결되어 초각(草刻)되었는데 끝부분에는 연꽃과 연봉, 연밥이 조각되었다. 이 위로는 주심포(柱心包)에서는 (대량(大樑) 또는 충량(衝樑))을 받게 되었고 공간포(空間包)에서는 봉황(鳳凰)이 조각된 부재가 결구(結構)되었다. 후면 어간(御間)에서의 각 제공의 내·외부는 쇠서가 없이 교두형(翹頭型)으로 간략히 처리되었다. 내·외부의 각 첨자는 교두형으로 되었다. 내부는 후면(後面) 고주(高柱)에 의지하여 후불벽(後佛壁)을 세우고 우물마루 위에는 불단을 배설하여 조선조 후기의 3존불을 안치하였으며 불단의 상부(上部)로는 구출목(九出目)의 섬세한 공포로 결구한 정(丁)자형의 닫집이 시설되었다. 닫집의 내부에는 구름과 용을 조각하여 매달아 놓았다. 천장은 중앙부는 평우물천장이고 둘레에는 빗우물천장으로 되었으며 내부의 단청(丹靑)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외부 단청(丹靑)은 퇴색되어 흔적만 나타난다. (문화재청)

 대웅보전 내부

 

대웅보전 주춧돌

 

대웅보전 주춧돌

 대웅보전 주춧돌

 대웅보전 주춧돌

대웅보전 주춧돌

대웅보전 공포(외삼출목)

대웅보전 천장

대웅보전 천장

 명부전

 명부전 내부

 삼성각

 삼성각 내부(산신탱화)

 삼성각 내부(칠성탱화)

 삼성각 내부(나반존자)

 응진전

 미황사응진당(美黃寺應進堂  보물  제1183호)

달마산 기슭에 자리잡은 미황사는 우리 나라 육지 가장 남쪽에 있는 절이다. 미황사 사적비에 따르면 통일신라 경덕왕 8년(749)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에 타 버려, 지금있는 응진당은 영조 27년(1751)에 지은 것이다. 응진은 부처의 또 다른 이름이며, 아라한·나한은 수행을 거쳐 깨달은 성자를 말한다. 응진당은 나한전이라고도 하는데, 보통 십육나한이나 오백나한을 모신다. 미황사 응진당에는 안쪽 벽면에 그림으로 십육나한을 모시고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기둥 윗부분에는 장식이 조각되어 있는 등 조선 후기의 양식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화재청)

 응진전 내부

  

 범종각

 

 석조에 비친 달마산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파노라마)이 ...

 

출처 : 내일의 어제
글쓴이 : 내이름은아무따나 원글보기
메모 :

'☞산사를 찾아서 > 우리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의 속살, 백담사와 봉정암  (0) 2008.02.28
[스크랩] 구룡사(07 06 09)  (0) 2007.10.09
덕숭산 수덕사/충남 예산  (0) 2007.08.23
백담사(白潭寺)/설악산  (0) 2007.08.09
부산 범어사  (0) 2007.06.13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