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靑磁陰刻蓮花折枝文梅甁)
2006.02.25 by 산과벗
옥로(玉鷺)
보물 637호 차륜식토기
보물 636호 서수형토기<미추왕릉>
보물 456호 금제경식
보물 455호 태환이식
보물 64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보물 1425호 백자철화매죽문호
종 목 국보 254호 명 칭 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 (靑磁陰刻蓮花折枝文梅甁) 분 류 청자 수 량 1점 지정일 1990.05.21 소재지 서울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 이헌 관리자 이헌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매병으로 높이 43.0㎝, 아가리 지름 6.3㎝, 밑 지름 15.3㎝이다. 고려 중기의 전형적인 형태로서 다소 넓은..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2:03
옥로란 옛날 우리나라에서 높은 벼슬을 하는 사람이나 혹은 명을 받고 외국에 가는 사람이 갓 위에 꽂던 장식품이다. 원형 금받침대에 얹어놓은 이 유물은 하얀 옥으로 연꽃잎에 쌓인 백로 세마리를 조각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옥록(玉鷺)라 한다. -보물 326호 1959.8.24 지정 현충사 소장유물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2:02
보물 813 차륜식토기 보물 637호 경남 진주시 미상 수레바퀴가 붙은 높이 18.5㎝, 길이 24㎝의 가야 토기로 출토지는 알 수 없다. 토기의 받침은 이 시대 굽다리 접시(고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밑이 벌어진 나팔형인데 긴 직사각형의 굽구멍(투창)이 4개 뚫려 있다. 받침 위에 U자형의 뿔잔(각배)을 얹어 ..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58
812 서수형토기<미추왕릉> 보물 636호 경북 경주시 신라시대 경주 미추왕릉 앞에 있는 무덤들 중 C지구 제3호 무덤에서 출토된, 거북 모양의 몸을 하고 있는 높이 15.1㎝, 길이 17.5㎝, 밑지름 5.5㎝의 토기이다. 머리와 꼬리는 용 모양이고, 토기의 받침대 부분은 나팔형인데, 사각형으로 구멍을 뚫어 놓..
517 금제경식 보물 456호 서울 종로구 신라시대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57
516 태환이식 보물 455호 서울 종로구 신라시대 경주 노서동 제215호 무덤에서 발견된 신라시대의 금으로 만든 귀고리이다. 총 길이가 9㎝정도로 커다란 굵은 고리(태환)에는 장식이 전혀 없고, 그 밑에 타원형의 중간 고리를 달아 아래 장식들과 연결시켰다. 중간부분은 작은 고리를 중심으로 아래 위에 ..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56
819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보물 643호 경기 용인시 삼국시대 현재 경기도 용인의 호암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높이 11.1㎝의 작은 금동불이다. 머리에는 산봉우리 모양의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는데, 봉우리가 거의 동일선상에 있어서 주목된다. 머리카락은 2가닥으로 길게 늘어져 양 어깨를 덮고 ..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55
1822 백자철화매죽문호 보물 1425호 경기 용인시 조선시대 조선 전기의 여운이 남아 있는 준수한 형태의 잘 그린 한 폭의 문인화를 보듯 그림 맛이 일품인 항아리이다. 문양은 암갈색(暗褐色)의 짙은 철사안료를 사용하였는데, 입과 몸통의 저부에는 도식화된 삼각형 연잎을 그리고, 어깨에는 변형된 여..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