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중앙 박물관을 찾아서 2
2006.02.25 by 산과벗
백제 금동대향로
금동반가사유상 |
국보 문화재 순례 - 고려 청자
청자 3수
2006.02.14 by 산과벗
청자상감국화운학문매병
진품 고려청자
옥의 색을 향한 집념이 만들어낸 고려청자
도자기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53
금동대향로(金銅大香爐) 백제(百濟) 금동제(金銅製) 높이 : 62.5Cm / 최대지름(最大지름) : 19Cm 향로(香爐) 봉황문(鳳凰文) '지도위원회의자료' 국립부여박물관. 1993. '백제금동대향로와 창왕명석조사리감' 1996. 국립부여박물관 송산(松山) 2 송산(松山) 2 충남 부여군 능산리사지의 부속건물이 공방지(工房..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51
국보 83호 금동미륵보살 반가상 삼국시대 국내에서 가장 큰 금동반가사유사으로 높이가 93.5 센티미터이다 1920년대 경주에서 발견 되었다고 하나 근거가 없으며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을 쓰고 있어서 삼산반가사유상으로도 불린다 얼굴은 거의 원형에 가까울 절도로 풍만하고 눈두덩과 입가..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50
국보 문화재 순례 - 고려 청자 국보 60호 명 칭 청자사자유개향로 (靑磁獅子유蓋香爐) 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이 21.2㎝, 지름 16.3㎝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3개의 짐승모양을 한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데, 전면..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25. 11:49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14. 09:41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14. 09:40
☞국보·보물·유물/도자기·청자 2006. 2. 14. 09:39
한국 사람이 가장 좋아하는 것이 고려청자라고 한다. 그래서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재로 청자를 제일 앞에 놓는다. 고려청자하면 제일먼저 그 깊고 심오한 비색에 감탄하게 되며, 두 번째로는 청자를 구워낸 고려도공의 예술성에 감탄하기 때문이다. 한국미의 본질을 말하라고 한다면 어디까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