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탁영 김일손의 생애

☞나의 포토갤러리/나의족보·삼현파

by 산과벗 2018. 11. 8. 10:49

본문


                                  <인물로 배우는 역사공부> 탁영 김일손의 생애

 

  김일손(金馹孫, 1464213(음력 17)~ 1498814(음력 727))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다. 본관은 김해이며,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 소미산인(少微山人)이다. 시호는 문민(文愍)이다.

 

  성종 때 춘추관의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전라도관찰사 이극돈(李克墩) 등의 비행을 그대로 적었고, 윤필상 등의 부패 행위도 사서에 기록했다. 1498년에 성종실록을 편찬할 때 앞서 스승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이극돈을 통하여 연산군에게 알려져 사형에 처해졌고, 다른 많은 사류(士類)도 함께 화()를 입었다.

 

  생애

 

  출생과 수학

 

  김일손은 1464(세조 10)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백곡마을(포은 정몽주와 교유한 고조 할아버지 김항(金伉)이 청도에 터를 잡아 대대로 정착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에서 집의를 지낸 아버지 김맹(金孟)의 꿈에 용마(龍馬)를 보고 세 아들을 낳아, 아들의 이름을 모두 마()변이 있는 글자로 지었다고 한다. 큰 아들이 김준손(金駿孫)이며, 김기손(金驥孫)은 둘째이고, 막내아들인 그가 김일손(金馹孫)이다. 효성의 귀감으로 후세에 알려지는 김극일(金克一 1382~1456?)의 손자이다. 어려서 소학·통감강목·사서(四書) 등을 배웠다. 147815세 단양 우씨와 혼인하고, 선산의 이맹전을 찾아 배알하였다.

 

  생육신의 한사람인 이맹전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밀양의 점필재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 찾아가 그의 제자가 되었다. 1483년 부친상을 당하였다. 그는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정여해·강혼(姜渾남곤·정광필 등과 사귀었다. 이 중 남곤은 또다른 동문인 김굉필의 제자 조광조 일파를 숙청하는데 가담하기도 한다.

 

                                                    김일손의 필적

 

  2년간 이맹전과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이맹전이 병사하자 김종직의 문하에서 생활하다시피 하며 그에게서 성리학과 글, 사물을 배웠다. 그 당시 사림의 대표적 으뜸이던 김종직의 문하생인 그는 오래 스승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1486(성종 17)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生員)이 되었다.

 

  호() 탁영(濯纓)갓끈을 씻는 사람이란 뜻으로서 초나라 굴원(屈原)어부사(漁父詞)’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나의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나의 발을 씻으리에서 따온 것이다.

 

  관료 활동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초반

 

  상경한 뒤 같은 해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에 올랐다.

그 뒤 예문관에 등용된 후, 청환직을 거쳐 1489년 음력 11월 요동질정관으로 1차로 북경을 다녀왔다. 1490년 음력 3월 노산군 입후치제를 주장하고 음력 4육신전을 첨삭하였으며 음력 11월 진하사가 명나라에 파견될 때 그도 서장관으로 다시 북경에 다녀왔다.[1]

 

  언관 활동

 

  1491(성종 21)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뒤에 이조정랑(吏曹正郞)이 되었다. 주서(注書부수찬·장령·정언·이조좌랑·헌납·이조정랑 등을 두루 지냈다. 그는 주로 언관(言官)으로 있으면서 유자광(柳子光이극돈(李克墩) 등 훈구파(勳舊派) 학자들의 부패와 비행을 앞장서서 비판하였고, 한치의 굽힘이 없었다.

 

  성종 때 춘추관 헌납(獻納) 재직시에 이극돈과 성준(成俊) 등이 새로 붕당의 분쟁을 일으킨다고 상소하여 이극돈을 비롯한 훈구파의 원한을 샀다. 그 뒤 질정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파견되었을 때는 정유(鄭愈) 등의 중국 학자와 교유하며 사상을 주고 받고, 정유가 지은 소학집설 小學集說을 가지고 귀국하여 조선에 전파했다.

 

  사관 활동

 

 춘추관의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전라도관찰사 이극돈(李克墩) 등의 비행을 그대로 적었고, 윤필상 등의 부패 행위도 사서에 기록했다.

 

  또한 세조 찬위의 부당성을 풍자하여 스승 김종직이 지은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에 실었다. <조의제문>은 그의 스승 김종직이 항우(項羽)가 초 회왕(懷王), 즉 의제(義帝)를 죽이고 찬탈한 것을 기록한 것으로, 초 의제를 조상하는 형식이었지만 실은 단종을 의제에 비유한 것으로 세조의 찬탈을 비난한 것이었다. 이 조의제문과 기타 여러가지 사건이 빌미가 되어 후일 1498(연산군 4) 유자광·이극돈 등 훈구파가 일으킨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그 결과로 김종직은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였고, 권오복(權五福권경유(權景裕이목(李穆) 등 사림파 여러 인물들과 함께 처형당하게 된다.

 

                                  김일손에게 문민이란 시호를 내릴 때의 교지

 

  그의 언행 가운데 훈구파에서 문제로 삼았던 것은 덕종의 후궁인 소훈 윤씨(昭訓尹氏)에게 이유 없이 지나치게 많은 전민(田民)과 가사(家舍)를 내렸다고 세조의 실정을 비판했고, 세조가 소훈 윤씨와 소의 권씨 등 장남 덕종의 후궁을 범하려다가 실패한 것을 기록했으며, 조의제문을 그대로 사초에 기록하였다.

 

  1496년 음력 1월 소릉복위 상소를 올리고 음력 3월 모친상을 당했다. 3년상을 마치고 1498년초 공직에 복귀했다.

 

  부패, 간통 승려 비판

 

  학조가 왕실의 위세를 업고 해인사 주지를 자신의 수하로 갈아치운 사실을 기록한 것이 문제가 된 것이었다. 또한 학조가 세종의 아들인 광평대군과 영응대군의 땅과 백성들을 사취한 사실도 문제가 된 기록이었다. 승려 학조는 세조의 불사에 참여하여 총애를 받았고, 세조의 측근인 공신 김수온의 형제였다.

 

  영응대군 부인 송씨는 군장사란 절에 올라가 설법을 듣다가 계집종이 깊이 잠들면 학조와 사통을 했다. 그는 학조와 대방군부인 송씨의 간통 사실을 성종의 면전에서 직접 언급하며 이를 비판하였다.

  또한 무오사화 당시 이 사실도 사초에 들어 있었다.

 

  생애 후반

 

  훈구파 비판

 

  그는 세조의 꿈 때문에 어이없이 부관참시 된 단종의 어머니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소릉(昭陵)을 복구할 것을 주장하였고, 황보 인(皇甫仁) · 김종서(金宗瑞) 등을 절의를 지킨 인물로 평가하고, 숙의권씨(淑儀權氏)의 노비와 토지를 권람(權擥)이 가로챘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그의 비판은 동료들로부터도 위험한 것으로 여겨져 정광필이나 남곤, 김굉필, 김전, 김안국 등은 그런 신랄한 지적을 한 그에게 되도록 외부에 발설하지 말라고 충고하거나, 오히려 그를 나무라고 질책했다.

 

  그의 직언을 비판한 정광필과 김안국, 남곤, 김전, 김굉필 등은 살아남았지만, 그의 직언에 동조했거나 긍정적이었던 김종직의 문하생들은 대부분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로 희생된다.

 

  세조비 정희왕후 윤씨의 상중에 전라도관찰사 이극돈이 기생을 불러다가 술을 마신 것을 사초에 기록했다. 이것이 동료 사관을 통해 이극돈에게 알려지면서 그는 사초에서 상중에 기생과 어울린 내용을 빼줄 것을 청탁하였으나 김일손은 이를 단호하게 거절한다.

 

  무오사화와 죽음

 

   만년의 그는 풍병(風病)을 앓고 있었다. 그런데 1498년에 성종실록을 편찬할 때 앞서 스승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은 것이 노사신 · 한치형 · 윤필상 · 신수근 · 유자광 등을 통해 연산군에게 알려졌다. 그 내용인 즉, 세조를 비방하고, 노산군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는 것이 바로 그 이유였던 것이다. 곧 체포되어 심한 고문 끝에 대역죄로 음력 7월 광통방(廣通坊)에서 능지처참되고, 권경유 · 권오복 · 허반 등 다른 많은 사류도 화를 당하게 되었다.

 

  이 일을 무오사화라 한다. 이를 계기로 세조 때 등장하여 성종 때에 날개를 펴며 세력을 확장해나가던 신진 사림은 집권층인 훈구파에게 숙청되었다.

 

  사후

 

  그는 주로 언관(言官)으로 있으면서 유자광(柳子光) · 윤필상 · 이극돈(李克墩) · 임사홍 등 훈구파(勳舊派) 학자들과 학조 등 승려들의 부패와 비행을 앞장서서 신랄하게 지적하고 규탄했다.

 

  연산군은 1504(연산군 10)에 갑자사화 때 김일손의 집 땅을 깎아 평평하게 하라고 명하고 아버지 김맹(金孟)을 부관참시하고, 그의 첩자 김청이(金淸伊) · 김숙이(金淑伊)는 사람을 보내어 목을 베어 효수에 처해졌다. 그리고 이들을 죽이며 연산군은 세조께서는 가문을 변화시켜 임금이 되신 분인데, 이와 같은 말을 차마 하였으니, 어찌 이보다 더한 난신적자가 있겠는가?”라고 비판했다. 그의 가족이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당해 자손이 끓어졌지만, 큰 형 김준손(金駿孫)의 차남 김대장(金大壯)이 출계(出系)하여 그의 대()를 이었다.

 

                                경북 청도에 있는 김일손의 묘

 

  중종반정 이후 신원되었고, 문민(文愍)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승정원 도승지가 추증되었다. 충청남도 목천(木川)의 도동서원(道東書院), 경북 청도의 자계서원(紫溪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문집에 탁영문집이 있다.

 

                                                 탁영 거문고

 

  그는 거문고를 좋아했고 능숙한 연주가였다. 그가 남긴 거문고는 탁영거문고라고 해서 귀중한 유물이다. 김일손이 타던 거문고는 1490년경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옛 선비들이 사용한 악기로는 유일하게 국가문화재(보물)로 지정되었다.

 

  저서

 《탁영문집

 

                                               탁영집

 

  일찍이 스승인 김종직을 닮아 사장(詞章)에 능했으며, 당시 고관들의 불의와 부패를 규탄하였다.

  패관잡기에는 그를 평하기를 "계운(季雲·김일손의 자)은 참으로 세상에 드문 선비였으나, 불행한 시대를 만나 화를 입고 죽었다"고 애석해 했다.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공은 참으로 세상에 드문 재주요, 묘당(廟堂)의 그릇이었다. ...(이하 중략)... 인물을 시비하고 국사를 논의함은 마치 청천백일 같았다. 애석하도다. 연산군이 어찌 차마 그를 거리에 내놓고 죽였는가?"라고 연산군을 비판하고 있다.

 

  지족당 남곤은 그의 문장력과 시 재주가 동문수학들 중에서는 가장 뛰어났는데, 불행하게도 일찍 죽음을 당했다며 항상 애통해하였다.

 

  남명 조식은 그에 대해 살아서는 서리를 업신여길 절개(凌霜之節)가 있었고, 죽어서는 하늘에 통하는 원통함이 있었다.”고 하면서 그의 죽음을 안타까워했다.

 

  부정적 평가

 

  그러나 과격하다는 비판도 있다. 후대에 월정 윤근수가 지은 <월정만필>에 의하면 "김일손이 정광필과 양남어사(兩南御史)가 되어 용인의 객관에 같이 묵었을 때 시사를 논하는데 강개하여 과격한 말을 많이 했다"고 전한다. 정광필 등은 그가 너무 과격하다며 이를 나무랐다고 한다.

 

  사상과 신념

 

  학조의 월권 행위 비판

 

  세조와 정희왕후의 총애를 받던 승려 학조에 대한 사초의 기록도 중요한 추궁사항 중의 하나였다. 학조가 대비의 위세를 등에 업고 해인사의 주지를 자신의 수하 인물로 갈아치운 사실을 기록했던 것이다. 학조가 세종의 아들인 광평대군과 영응대군의 땅과 백성들을 사취한 사실을 기록한 것도 문제가 되었다.

 

  그는 성종에게 여러 번 불사의 부당함과 소격서의 잘못을 여러 번 간하였고, 학조의 간통 행위를 공개적으로 언급, 지적하였다. 성종은 학조를 처벌할 수 없다고 밝혔으며, 훈구파와 사림파 모두 정파를 초월하여 그의 불사 중단과 학조의 비리, 엽색행각 비판에 적극 공감하였다.

 

  학조와 대방군부인 간통 논란

 

  승려 학조는 왕실의 후원을 믿고 여러 가지 월권행위를 자행하다가 영응대군의 미망인인 대방군부인 송씨와 간통하였다.

 

  후일 박경은 김일손과 기맥이 통하여 홍인문 밖에서 '영응대군(永膺大君) 부인 송씨가 승려 학조(學祖)와 사통(私通)을 했다'는 방문(榜文)을 보고 알렸다가, 김일손이 사초에 적는 바람에 호된 고문을 당하고 겨우 살아난 적이 있었다. 영응대군의 부인 송씨가 군장사에 올라가 설법을 듣다가 시비가 잠들면 학조와 사통을 했다는 것이다. 이는 하녀에 의해 발설되어 알려졌고 소문이 파다하게 퍼졌었다.

 

  스승인 김종직은 이를 비판했고, 그는 박경 등으로부터 학조의 비행을 듣게 된다. 나중에 사림이 기록한 실록에는 학조가 세종의 여덟째 아들 영응대군의 부인 송씨와 사통(私通)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었다. 김일손은 이를 박경에게 들었다고 공초했고, 박경이 잡혀와 국문을 당한다.

 

  기타

 

  학맥

 

  학통상으로는 정몽주의 학파였다. 학맥상으로는 백이정과 안향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백이정, 안향이제현이색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일손으로 이어진다.

 

 

백이정, 안향이제현이색정도전

 

             →이숭인

             →정몽주권근

                   →권우세종대왕

                      →정인지

                   →길재김숙자김종직정여창

                              →김굉필조광조

                                  →김안국

                                  →김정국

                              →주계부정 이심원

                              →김일손

                              →김전

 

                              →남곤

   남곤의 추도시

 

  남곤은 그의 동문이자 친구였으며 같은 스승 김종직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무오사화로 죽임을 당한 탁영(濯纓) 김일손의 묘를 중종반정 후 이장할 때 남곤은 글을 지어 "()은 참으로 세상에 드문 재주요 묘당(廟堂)의 그릇이었다. 소장(疎章)과 차자(箚子)의 문장이 넓고 깊음이 큰 바다와 같았고, 인물은 시비하고 국사를 논함이 마치 청천백일(靑天白日) 같았다. 애석(哀惜)하도다 연산군이 어찌 차마 그를 거리에 내놓고 죽였는가, 공은 실로 세상에 드문 선비였다.불행한 때를 만나 화()를 입고 죽었구나" 하고 애석해 하면서 만시(輓詩)를 지었다.

 

귀신(鬼神)은 아득하고 어두운데 천도는 진실로 알기도 어렵구나.

귀신도 천도는 좋아하고 미워함이 인간과는 달라 화와 복을 항상 거꾸로 베푸나니,

길고 긴 이 우주(宇宙)에 오래 사나 짧게 사나 하루살이와 같은 것이라.

촉루의 즐거움이 인간 의 임금보다 나은지 어찌알랴,

달관으로 한 웃음에 부치니 뜬 구름처럼 아득하다.

다만 아깝기는 세상에 이름난 사람은 한번 나기 매양 어렵도다.

수백년을 걸려서야 겨우 한번 보게되네.

그를 보고도 성취시키지 못하니 태평의 다스림을 어느 때에나 보랴,

나의 난 것이 무슨 다행으로 그대와 동시였네,

서한시대(西漢時代)의 문장이요,()나라 원풍(元豊), 희녕(熙寧)시대의 인물이었네,

정치의 잘못됨을 한 숨 쉬고 통곡(痛哭)하며,

옳은 일이라면 용감(勇敢)히 하였도다.

강관의 무리들이 옆에서 이를 갈며 엿보는 줄 어찌 알았으랴,

큰 칼 쓴 죄인으로 문득 사형장(死 刑場)으로 가란 말가,

세상 만사에 없는 일이 없구나,

동해 바다가 끝없이 너르네,

지금은 세상이 바로 되어가 혹한 법도 풀어져 선하고 악한 것이 구별이 되네,

어찌 무오년의 원통(寃痛)함은 아직도 신설(伸雪)하지 못하는고,

춘추의 필법에는 내 임금의 허물을 위()하는 예가 있어

정공(定公).애공(哀公)의 기록에는 숨긴 말이 많다하나 이렇게 춘추(春秋)를 지은 성인(聖人)은 하늘과도 같아서 후세 사람 따를 바 못되고,

붓을 잡아 들은대로 쓰는 것은 사가(史家)의 상례이다.

들은바 가 바르고 틀림이 있다해도 그것은 사람의 사견(私見)이다.

그것을 정리 편찬하는 데는 실록청(實錄廳)이 있으니

허위로 된 것이면 깎으면 그만인데

다만 뱃속의 칼이 터럭속의 흠터를 찾아냈네.

()나라 사람들이 국악(國惡)을 써서 길거리 에 보인 것과는 비할 것도 아니로다.

벼슬 자리에서 직무(職務)를 행하지 못했다면 그 죄는 매를 치면 될 것이요

,현능한 인재에는 특별히 용서하고 감형하는 옛 법도 있는 바다.

이런 말씀 아뢰어 임금의 의혹을 풀어드릴이 없구나.

세월도 10년을 넘게되니 식자들의 가슴에 영원한 슬픔이여,

파타성() 성동의 낮은 언덕 초라하여 시체 감출곳 되지 못하네

사랑하는 자질들이 좋은 땅 가려 이장 (移葬)하려 하도다.

그대는 지금 하늘 위에서 굽어보면 먼지만 자욱하리.

솔개나 굼벵이를 택하지 않거든 하물며 이땅저땅 상관하랴마는

인간에서 구구하게 성묘 (省墓)하고 제사(祭祀)드리기 편함을 취함이네.

처량하다 목천현(木川縣)에 구불 구불한 산기슭,

후일에 도지(圖誌)를 편찬(編纂)할 때 이 무덤 기록하여 빼지마오.

 

  가계

 

  고조할아버지는 포은 정몽주와 교유한 김항(金伉)이 청도에 터를 잡아 대대로 정착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증조할아버지 의흥 현감(義興縣監) 김서(金湑)이다. 할아버지는 모암 김극일(金克一)로 야은 길재(吉再)에게 수학했고 효성이 지극하여 절효(節孝)라고 일컬어졌다. 아버지는 남계 김맹(金孟)으로 김숙자(金叔滋)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또한 형인 김준손(金駿孫)과 김기손(金驥孫)도 정시(庭試)에 합격함으로써 가문 전체가 당대에 이름을 떨쳤다. 김일손의 가계는 영남 사림의 정통적인 맥과 흐름을 같이하고 있는데, 이러한 가문 배경으로 인해 어려서부터 도학과 문학에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선대


 래조부 : 김관(金管) (125055(고려 고종 37) ~ 1345(충목왕 1) 219일 향년 96세로 별세) - 김수로왕의 49대손. 충목왕 때 판도판서에 궤장을 하사 받았다.

래조모 : 대사성 임의충(林宜衷, 나주 임씨)의 딸

현조부 : 김문숙(金文淑) (1293(충렬왕 19) ~ 1348410(충목왕 4) 향년 56세로 별세) - 경덕재생

현조모 : 목사 류방선(柳方善, 서산 류씨)의 딸

고조부 : 김항(金沆) (1326928(충숙왕 13) ~ 1382(우왕 8717)) - 도제고 판관

고조모 : 학사 고지린(高知麟, 제주 고씨)의 딸

증조부 : 김서(金湑) (1342(충혜왕 3) 53~14201012(조선 세종 2) 향년 79세로 별세)

증조모 : 중서내령 박천봉(朴天鳳, 밀양 박씨)의 딸 종증조 : 김위(金渭) - 현감

 

조부 : 김극일(金克一) (1382(우왕 8)1456(조선 세조 2))

조모 : 한성부윤 이간(李湅, 경주 이씨)의 딸

아버지 : 김맹(金孟) (1410(태종 10)~1483(성종 14)) - 1455(조선 세조 1)

전모 : 어은 정중건(鄭仲虔, 진주 정씨)의 딸

생모 : 참의 이양(李讓, 용인 이씨)의 딸 백부 : 김건(金健) - 영광군수(靈光郡守)

숙부 : 김용(金勇) - 한림

숙부 : 김순(金順) - 진사

숙부 : 김인(金靭) - 녹사

계부 : 김현(金鉉) - 진의

 

 형제

이복 누나 : 생원 김진경(金震卿)의 부인. 진주 정씨의 소생

: 김준손(金駿孫) (14541508)

형수 : 이육(李育, 고성 이씨)의 딸, 자녀를 두지 못했다.

형수 : 첨정 고태익(高台翼, 제주 고씨)의 딸, 김대유(金大有)를 낳았다.

형수 : 양우용(梁友龍, 남원 양씨)의 딸 대장, 대축 , 대아 세 아들을 낳았다

조카 : 김대유(金大有) - 호는 삼족당(三足堂)

조카 : 김대축(金大畜) - 은제

조카 : 김대아(金大雅) - 농은

조카 : 진사(進士) 이공권(李公權, 전의 이씨)의 부인

 

: 김기손(金驥孫)(14561493)

형수 : 직제학 최학연(崔學淵, 흥해 최씨)의 딸 

조카 : 김대영(金大榮)

 

누나 : 사직 윤기분(尹起汾)의 부인

누나 : 사과 조건(趙鍵, 한양 조씨)의 부인

이복 형 : 김원(金元) 천첩(賤妾)의 아들

이복 형 : 김형(金亨) 천첩(賤妾)의 아들

이복 형 : 김이(金利) 천첩(賤妾)의 아들

이복 형 : 김정(金貞) 천첩(賤妾)의 아들

이복 형 : 김흠(金欽) 천첩(賤妾)의 아들

이복 형 : 김명(金明) 천첩(賤妾)의 아들

이복 형 : 김문(金文) 천첩(賤妾)의 아들

이복 형 : 김사(金思) 천첩(賤妾)의 아들

 

부인과 후손


부인 : 호군 우극관(禹克寬, 단양 우씨)의 딸

부인 : 참판 김미손(金尾孫, 예안 김씨)의 딸 

조카 겸 양자 : 김대장(金大壯) (14931549)- 김준손의 차남.

자부 : 현감 양활준(梁活准, 남원 양씨)의 딸 손자 : 김갱(金鏗)

손부 : 습독관 박하(朴河, 밀양 박씨)의 딸 증손녀 : 김심(金審, 서흥 김씨)의 부인

증손녀 : 이렴(李濂, 고성 이씨)의 부인

 

손자 : 김장(金鏘) - 사과(司果)

손부 : 사과 류세봉(柳世鳳, 전주 류씨)의 딸 증손자 : 김치삼(金致三) (1560~1625215)

증손자 : 김치수(金致水) (1562815~1628713)

증손자 : 김치세(金致世) (1563~1597)

 

손자 : 김령(金鈴) - 성균진사에다 판관

손부 : 박하담(朴河淡, 밀양 박씨)의 딸

손부 : 조인두(趙仁斗, 한양 조씨)의 딸 증손자 : 김계우(金啓遇)

증손자 : 김계상(金啓常) - 통덕랑.

증손자 : 김계무(金啓務)

 

손녀 : 별제 안굉(安宏, 순흥 안씨)의 부인

 

첩자 : 김청이(金淸伊) - 갑자사화 때 효수형을 당해 사망.

첩자 : 김숙이(金淑伊) - 갑자사화 때 효수형을 당해 사망.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