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書藝)의 의의
2006.09.18 by 산과벗
서각/(書)자, 새길 각(刻)
2006.07.21 by 산과벗
唐代草書
漢代草書
漢代 이전의 초서조건
초서의 종류
예서실기(예기비)
예서를 처음 배을때
서예(書藝)의 의의 서예는 점과 선 ·획(劃)의 태세(太細) ·장단(長短), 필압(筆壓)의 강약(强弱) · 경중(輕重), 운필의 지속(遲速)과 먹의 농담(濃淡), 문자 상호간의 비례 균형이 혼연일체가 되어 미묘한 조형미가 이루어진다. 서예는 중국문화권 안에 있는 여러 나라에서 특유의 예술이었으며, 중국..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9. 18. 17:50
서각(書刻)의 이해 일반적으로 서각(書刻) 이라 함은 다른 말로는 刻字, 刻書 등이라고도 하며 돌이나 목재 또는 다른 어떤 소재에다 글(書)을 포함한 회화 또는 선이 있는 소재를 각하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서각을 생소하게 생각하는데 이는 우리 서각인들 스스로 일반인들..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7. 21. 14:34
唐代草書 唐代는 국력이 강성한 경제번영의 제국이었으며, 중국 봉건사회의 절정에 이르렀다. 문화방면에서 전대미문의 모든 시대의 대 교류와 대 융합을 이룩하였다. "조금도 두려움 없이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도입`흡수하였고, 조금도 구속됨이 없이 조금도 그리워함이 없이 창조`혁신하였으며, 고..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7. 21. 14:30
漢代草書 漢代는 강성한 제국이었으며, 중국 서체 발전변화에 있어서 가장 강렬한 시대였다. 漢朝 426년간 篆書 외에 모든 서체가 완성되었으며, 초서분야에서 章草와 今草 모두 體를 정할 수 있었고, 게다가 대대적인 업적이 있는 초서작가가 동시에 출현하였다. 漢代 초기의 초서는 章草를 위주로 삼..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7. 21. 14:29
Ⅰ. 漢代 이전의 초서조건 초서는 어느 시기에 기원했을까? 또 무슨 원인으로 탄생케 하였으며, 무슨 요소의 촉진 하에 발전하게 되었을까? 각 시대의 초서는 무엇 때문에 시대의 특징을 나타내었을까? 이 확실한 것은 비교적 복잡한 문제여서, 반드시 草字의 함의와 그 변화요소를 재촉하여 빨리 이루..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7. 21. 14:28
草書의 種類 중국고대에 저술한 서학이론 중에서 초서의 명칭은 확실히 적지 않은데, "赴急書"·"藁草"·"章草"·"草藁"·"藁書"·"篆草"·"隸草"·"急就"·"行草"·"今草"·"狂草""醉草"·"大草"·"小草"·"全草"·"半草"·"獨草"·"連綿草"·"游絲草" 등과 같다. 참으로 명칭이 아주 많아 사람들을 혼란스..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7. 21. 14:25
상기 글자는 예기비 처음 부분인 2자입니다. 예서의 자형과 제가 쓴 글자와 비교하여 살펴보세요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7. 21. 14:22
예서를 처음 배우실때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하여 말씀드립니다. 1. 해서가 정방(정사각형)이면 전서는 세로가 길은 직사각형, 예서는 가로가 길은 직사각형이 모양입니다. 예서의 자형이 가로가 길은 이유는 예서를 팔분 (八分) 여덜팔 字처럼 나누어 져있어 벌려져있는 모양을 뜻하는 이유도 있습니다...
☞墨香·서예배우기/서예·이론공부 2006. 7. 21. 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