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 월명암/전북 부안
2007.03.09 by 산과벗
항일암/전남 여수
보문사/인천 강화
화엄사/전남 구례
망해사/전북 김제
운길산 수종사/경기 남양주
오대산 월정사
남장사/경북 상주시 남장동
부안 변산 월명암 월명암 월명암은 변산면소재지(지서리)에서 5km정도 떨어진 변산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 쌍선봉(雙仙峰:498m) 아래에 자리잡아 있다. 지서리에서 출발하여 남여치 매표소쪽으로 들어간 다음에 관음약수터, 쌍선봉을 지나 낙조대에서 내변산의 경치를 구경한 후 들를 수 있다. 남여..
☞여행·가볼만한 곳/국내·사찰 답사 2007. 3. 9. 10:14
향일암 전남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임포마을 향일암 대웅전 향일암(문화재자료 제40호)은 전국 4대 관음 기도처 중의 한 곳으로 644년 백제 의자왕 4년 신라의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원통암이라 불렀다. 고려 광종 9년(958)에 윤필대사가 금오암으로, 조선 숙종 41년 (1715년)에 인묵대사가 향일암이라 개칭했..
☞여행·가볼만한 곳/국내·사찰 답사 2007. 3. 9. 10:13
강화도 보문사 ▲ 보문사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629번지 낙가산에 있는 사찰. ( 032-933-8271~3 ) 양양 낙산사 와 금산 보리암과 함께 우리나라 3대 해상관음기도도량이다. 신라 선덕여왕 4년(635)년에 회정대사가 금강산에서 수행하다가 이 곳에 와서 절을 창건하였는데, 관세음보살이 상주한다는 산의 이름..
☞여행·가볼만한 곳/국내·사찰 답사 2007. 3. 9. 10:12
화엄사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있는 화엄사는 544년(백제 성왕 22년)에 연기 조사가 창건하였다하며 절의 이름은 화엄경(華嚴經)의 화엄 두글자를 따서 붙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해회당(海會堂)과 대웅상적광전(大雄常寂光殿)만 세워졌고 그후 643년(선덕여왕 12년) 자장율사에 의해 증축되었고 875년(신..
☞여행·가볼만한 곳/국내·사찰 답사 2007. 3. 9. 10:10
망해사 ▲ 바다를 바라보고 앉은 망해사의 극락전과 낙서전(樂西殿). 즐거움의 궁극, 즉 극락의 세계란 ‘지는 해를 기꺼워’할 줄 아는 데서 비롯됨을 일깨우는 것 같다. ‘김만경’이라는 이름을 들어보셨는지요. 사람 이름은 아닙니다. 한 글자를 더 붙여 ‘김만경뜰’이라고 하면 확실히 감이 올 ..
☞여행·가볼만한 곳/국내·사찰 답사 2007. 3. 9. 10:09
여행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멀리 가야만 하는 것도 아니고, 꼭 어느 시기에 맞춰 가야만 하는 것도 아니며, 돈이 있어야 떠날 수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세상일에 지친 몸과 마음을 편하게 풀고 놓을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상관없다. 경기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답사 2005.8월21일[ 한국의산천 ] 밤에..
☞여행·가볼만한 곳/국내·사찰 답사 2007. 3. 9. 10:08
오대산 월정사 웃음꽃 선한 마음의 고갱이 ▲ 월정사 적광전 앞 뜰. 눈을 덮고 선 소나무가 법신의 광휘인 듯하다. 낮과 밤. 시간의 두 기둥입니다. 우리는 이 두 기둥이 만들어내는 공간에서 삶을 이어갑니다. ‘주리면 먹고 졸리면 잔다.’ 출세간의 사람들이 사는 법입니다. 세간 살림 꼴로 바꾸면 ..
☞여행·가볼만한 곳/국내·사찰 답사 2007. 3. 9. 10:06
♣ 남장사 (경북 상주시 남장동 502번지.남장사 054-534-6331)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로, 경상북도 팔경(八景) 가운데 하나이다. 신라시대 832년(흥덕왕 7) 진감국사 혜소(慧昭)가 창건하여 장백사(長柏寺)라 하였으며, 고려시대인 1186년(명종 16) 각원화상이 지금의 터에 옮겨 짓고 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