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권학편/勸學篇
2006.08.29 by 산과벗
24. 염의편/廉義篇
23. 효행편 속편/孝行篇 續篇
22. 팔반가팔수/八反歌八首
21. 증보편/增補篇
20. 부행편/婦行篇
19. 교우편/交友篇
18. 언어편/言語篇
25. 勸 學 篇 권 학 편 朱子曰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하며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라 日月逝矣나 歲不我延이 주자왈 물위금일불학이유래일 물위금년불학이유내년 일월서의 세불아연 니 嗚呼老矣라 是誰之愆고. 오호노의 시수지건 주자가 말하기를, "오늘 배우지 아니 하고서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44
24. 廉 義 篇 염 의 편 印觀이 賣綿於市할새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이니 有鳶이 攫其綿하야 墮印觀家어늘 인관 매면어시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유연 획기면 타인관가 印觀이 歸于署調曰鳶墮汝綿於吾家 故로 還汝하노라 署調曰 鳶이 攫綿與汝는 天也라 인관 귀우서조왈연타여면어오가 고 환녀 서조왈..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43
23. 孝行篇 續篇 효행편 속편 孫順이 家貧하여 與其妻로 傭作人家以養母 有兒每奪母食이라 順이 謂妻曰兒奪母 손순 가빈 여기처 용작인가이양모 유아매탈모식 순 위처왈아탈모 食 兒는 可得이어니와 母難再求하라고 乃負兒往歸醉山北郊하여 欲埋堀地러니 忽有 식 아 가득 모난재구 내부아왕귀취산..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42
22. 八 反 歌 八 首 팔 반 가 팔 수 幼兒 或리我하면 我心에 覺환喜하고 父母 嗔怒我하면 我心에 反不甘이라 一환喜 유아혹리아 아심 각환희 부모 진노아 아심 반불감 일환희 一不甘하니 待兒待父心何懸고 勸君今日逢親怒어든 也應將親作兒看이니라. 일불감 대아대부심하현 권군금일봉친노 야응장친..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41
21. 增 補 篇 증 보 편 周易 曰 善不積이면 不足以成名이요 惡不積이면 不足以滅身이어늘 小人은 以小善으 주역 왈 선부적 부족이성명 악부적 부족이멸신 소인 이소선 로 爲無益而弗爲也하고 以小惡无 爲無傷而弗去也 故로 惡積而不可掩이요 罪大而不 위무익이불위야 이소악무 위무상이불거야 고 악..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40
20. 婦 行 篇 부 행 편 益智書 云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曰婦德이요 二曰婦容이요 三曰婦言이요 四曰婦工也 익지서 운 여유사덕지예 일왈부덕 이왈부용 삼왈부언 사왈부공야 니라. {익지서}에 이르기를, "여자는 네 가지 덕의 아름다움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을 말하고, 둘째는 부용을 말하고, 세째는 부..
19. 交 友 篇 교 우 편 子曰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하여 久而不聞其香하되 卽與之化矣요 與不善人居에 如 자왈 여선인거 여입지란지실 구이불문기향 즉여지화의 여불선인거 여 入飽魚之肆 久而不聞其臭하되 亦與之化矣니 丹之所藏者는 赤하고 漆之所藏者는 黑 입포어지사 구이불문기취 역이지화의 ..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9
18. 言 語 篇 언 어 편 劉會曰 言不中理면 不如不言이니라. 유회왈 언부중리 불여불언 유회가 말하기를,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느니라."고 하셨다. 一言不中이면 千語無用이니라. 일언부중 천어무용 한 마디 말이 맞지 않으면 천 마디 말이 쓸데 없느니라. 君平이 曰口舌者는 ..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