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근학편/勤學篇
2006.08.29 by 산과벗
8. 계성편/戒性篇
7. 존심편/存心篇
6. 안분편/安分篇
5. 정기편/正己篇
4. 효행편/孝行篇
3. 순명편/順命篇
2. 천명편/天命篇
9. 勤 學 篇 근 학 편 子曰 博學而篤志하고 切問而近思면 仁在其中矣니라. 자왈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공자가 말하기를, "널리 배워서 뜻을 두텁게 하고 간절하게 붇고 잘 생각하면 어짐이 그 속에 있느니라."고 하셨다. 莊子曰 人之不學 如登天而無術하고 學而智遠이면 如披祥雲而覩靑天..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0
8. 戒 性 篇 계 성 편 景行錄에 云 人性이 如水 水一傾則不可復이오 性一從則不可反이니 制水者는 必以 경행록 운 인성 여수 수일경즉불가복 성일종즉불가반 제수자 필이 堤防하고 制性者는 必以禮法이니라. 제방 제성자 필이예법 {경행록}에 이르기를,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아서 물이 한번 기울어..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29
7. 存 心 篇 존 심 편 景行錄에 云 坐密室을 如通衢하고 馭寸心을 如六馬可免過니라. 경행록 운 좌밀실 여통구 이촌심 여육마가면과 {경행록}에 이르기를, "비밀한 방에 앉았어도 마치 네 거리에 앉은 것처럼 하고 작은 마음을 제어하기로 마치 여섯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가히 허물을 면할 수 있느니라..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28
6. 安 分 篇 안 분 편 景行錄에 云 知足可樂이오 務貪則憂니라. 경행록 운 지족가락 무탐즉우 {경행록}에 이르기를, "넉넉함을 알면 가히 즐거울 것이요, 욕심이 많으면 곧 근심이 있느니라."고 하셨다. 知足者는 貧賤亦樂이오 不知足者는 富貴亦憂니라. 지족자 빈천역락 부지족자 부귀역우 "만족함을 ..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27
5. 正 己 篇 정 기 편 性理書에 云 見人之善而尋其之善하고 見人之惡而尋其之惡이니 如此면 方是有益이니 성리서 운 견인지선이심기지선 견인지악이심기지악 여차 방시유익 라. {성리서}에 이르기를, "남의 착한 것을 보고서 나의 착한 것을 찾고, 남의 악한 것을 보고서 나의 악한 것을 찾을 것이니 ..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7:59
4. 孝 行 篇 효 행 편 時曰 父兮生我하시고 母兮鞠我하시니 哀哀父母여 生我구勞샷다 欲報深恩 昊天罔極 시왈 부혜생아 모혜국아 애애부모 생아구로 묙보심은 호천망극 이로다. *구=句+力(힘쓸 구) 시에 이르기를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 나를 기르시니, 아아 애닯다 부모님이시어 나를 낳..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7:58
3. 順 命 篇 순 명 편 子曰 死生이 有命이오 富貴在天이니라. 자왈 사생 유명 부귀재천 공자가 말하기를, "죽고 사는 것은 명에 있고 부자가 되고 귀하게 되는 것은 하늘에 있다."고 하셨다. 萬事分已定이어늘 浮生空自忙이니라. 만사분이정 부생공자망 모든 일은 분수가 이미 정하여져 있는데 세상 사..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7:57
2. 天 命 篇 천 명 편 子曰 順天者는 存하고 逆天者는 亡이니라. 자왈 순천자 존 역천자 망 공자가 말하기를, "하늘을 순종하는 자는 살고, 하늘을 거역하는 자는 망한다."고 하셨다. 康節邵先生이 曰 天聽이 寂無音하니 蒼蒼何處尋고 非高亦非遠이라都只在人心이니라. 강절소선생 왈 천청 적무음 창창..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