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준례편/遵禮篇
2006.08.29 by 산과벗
16. 안의편/安義篇
15. 치가편/治家篇
14. 치정편/治政篇
13. 입교편/立敎篇
12. 성심편/省心篇 (下)
11. 성심편/省心篇 (上)
10. 훈자편/訓子篇
17. 遵 禮 篇 준 례 편 子曰 居家有禮故로 長幼辨하고 閨門有禮故로 三族和 朝廷有禮故로 官爵序하고 田 자왈 거가유례고 장유변 규문율례고 삼족 조정유례고 관작서 전 獵有禮故로 戎事閑하고 軍旅有禮故로 武功成이니라. 렵유례고 융사한 군여유례고 무공성 공자가 말하기를, "한 집안에 예가 있으..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7
16. 安 義 篇 안 의 편 顔氏家訓 曰 夫有人民而後에 有夫婦하고 有夫婦而後에 有父子하고 有父子而後에 有 안씨가 왈 부유인민이후 유부부 유부부이후 유부자 유부자이후 유 兄弟하니 一家之親 此三者而已矣라 自玆以往으로 至于九族이 皆本於三親焉故로 於人 형제 일가지친 차삼자이이의 자자이왕 ..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6
15. 治 家 篇 치 가 편 司馬溫公이 曰 凡諸卑幼事無大小이요 毋得專行하고 必咨稟於家長이니라. 사마온공 왈 범제비유사무대소 무득전행 필자품어가장 사마온공이 말하기를, "무릇 손아래 사람들은 일의 크고 작음이 없이 제멋대로 행동하지 말고 반드시 집안 어른께 여쭈어 보고서 해야 하느니라."소..
14. 治 政 篇 치 정 편 明道先生이 曰 一命之士 苟有存心於愛物이면 於人에 必有所濟니라. 명도선생 왈 일명지사 구유존심어애물 어인 필유소제 명도선생이 말하기를, "처음으로 벼슬을 얻는 사람이라도 진실로 물건을 사랑하는데 마음을 쓴다면 남에게 반드시 도움을 받는바가 있느니라."고 하셨다. ..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5
13. 立 敎 篇 입 교 편 子曰 立身有義而孝爲本이요 喪祀有禮而哀爲本이오 戰陣有列而勇爲本이요 자왈 입신유의이효위본 상사유례이애위본 전진유열이용위본 治政有理而農爲本이요 居國有道而嗣爲本이요 生財有時而力爲本이니라 치정유리이농위본 거국유도이사위본 생재유시이력위본. 공자가 말..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4
12. 省 心 篇 (下) 성 심 편 (하) 眞宗皇帝御製에 曰 知危識險이면 終無羅網之門이요 擧善薦賢이면 自 진종황제어제 왈 지위식험 종무나망지문 거선천현 자 有安身之路라 施仁布德은 乃世代之榮昌이요 懷妬報寃은 與子孫之爲患 유안신지로 시인포덕 내세대지영창 회투보원 여자손지위환 이라 損人利..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3
11. 省 心 篇 (上) 성 심 편 (상) 景行錄에 云 寶貨는 用之有盡이요 忠孝는 享之無窮이니라. 경행록 운 보화 용지유진 충효 향지무궁 {경행록}에 이르기를, "보화는 쓰면 다함이 있고 충성과 효성은 누려도 다함이 없느니라."고 하였다. 家和貧也好어니와 不義富如何오 但存一子孝면 何用子孫多리오. 가..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2
10. 訓 子 篇 훈 자 편 景行錄에 云 賓客不來門戶俗하고 詩書無敎子孫愚니라. 경행록 운 빈객불래문호속 지서무교자손우 {경행록}에 이르기를, "손님이 오지 않으면 집안이 저속해 지고 시서(詩書)를 가르치지 않으면 자손이 어리석어 지느니라."고 하셨다. 莊子曰 事雖小나 不作이면 不成이오 子雖賢..
☞고사·한시·속담/명심보감 2006. 8. 29. 1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