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가 있는 고사성어(가~기)
2006.04.04 by 산과벗
지학 (나이에 대한 명칭 및 의미)
천자문
한자성어
몸이 그림자에게(形贈影)/ 陶淵明(도연명)
처음뜻/윤종억(尹鍾億, 19세기 초)
동창이 밝았느냐?
꽃은 누구를 위하여 피고 지는가?
유래가 있는 고사성어 佳人薄命(가인박명) : 용모가 너무 빼어나면 운명이 기박하다. <아름다운 가><사람 인><엷은 박><목숨 명> ☞ 소식(小食)은 그의 시 『박명가인(薄命佳人)』에서 자신이 항주(杭州), 양주(楊州) 등의 지방 장관으로 있을 때 우연히 절에서 본 어여쁜 젊은 여승(女僧..
☞고사·한시·속담/고사성어 2006. 4. 4. 18:33
명칭(名稱) 연령(年齡) 의 미 (意 味) 출전(出典) 지학(志學) 15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논어 (論語) 약관(弱冠) 20세 남자 나이 스무살을 뜻함 예기 (禮記) 이립(而立) 30세 모든 기초를 세우는 나이 논어 (論語) 불혹(不惑) 40세 사물의 이치를 터득하고 세상 일에 흔들리지 않을 나이 논어 (論語) 상수(桑壽..
☞고사·한시·속담/고사성어 2006. 4. 4. 18:29
千 字 文 天(하늘 천) 地(땅 지) 玄(검을 현) 黃(누를 황) 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검고 땅은 아래 있어서 그 빛이 누르다. 宇(집 우) 宙(집 주) 洪(넓을 홍) 荒(거칠 황) 하늘과 땅 사이는 넓고 커서 끝이 없다. 즉 세상의 넓음을 말한다. 日(날 일) 月(달 월) 盈(찰 영) &#30458;(기울 측) 해는 서쪽으로 기울..
☞고사·한시·속담/천자문(千字文) 2006. 4. 4. 18:27
漢字 성어(成語)는 고사(故事) 뿐만 아니라 무궁한 한자의 조어력(造語力)으로 인해 다양한 의미를 지닌 낱말들을 만들어 냈습니다. 또한 성어는 동양 역사(歷史)의 모든 문헌(文獻)에 기본적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언어생활에서도 익숙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에 기초적인 성어(成..
☞고사·한시·속담/고사성어 2006. 4. 4. 18:25
天地長不沒 山川無改時 천지장불몰 산천무개시 草木得常理 霜露榮悴之 초목득상리 상로영췌지 謂人最靈智 獨復不如玆 위인최영지 독부불여자 適見在世中 奄去靡歸期 적견재세중 엄거미귀기 奚覺無一人 親識豈相思 해각무일인 친식기상사 但餘平生物 擧目情悽而 단여평생물 거목정처이 我無騰化..
☞고사·한시·속담/시조·한시 2006. 4. 4. 17:42
錦江江水碧於油 雨裏行人立渡頭 금강강수벽어유 우리행인입도두 初年濟世安民策 不及梢工一葉舟 초년제세안민책 불급초공일엽주 금강의 강물 빛은 기름보다 푸르른데 빗속에 나그네는 나루터에 서 있구나. 그 옛날 세상 건져 백성 편케 하자던 뜻 뱃사공의 조각배에 미치지도 못하누나. -윤종억(尹..
☞고사·한시·속담/시조·한시 2006. 4. 4. 13:34
東窓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치는 아희는 상기아니 일었느냐 재 너머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느니 조선조 제 19대 숙종임금때 南九萬 ( 인조7년1629 - - 숙종37년1711 ) 지은이 소개 조선 중기 문신·서예가.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미재(美齋). 본관은 의령(宜寧). 송준길(宋浚吉)의 ..
☞고사·한시·속담/시조·한시 2006. 4. 4. 13:33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꽃은 누구를 위하여 피고 지는 가? 惜花/嚴&#24818;(唐) 석화/엄운(당) 春光&#20873;&#20873;歸何處 춘광염염귀하처 봄볕 아장아장 어디로 돌아가는가? 更向花前把一杯 갱향화전파일배 새삼 꽃 앞에서 술잔 잡아들었네 盡日問花華不語 진일문화화불어 ..
☞고사·한시·속담/시조·한시 2006. 4. 4.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