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그물은 성글어도 빠뜨리지 않는다
2007.05.17 by 산과벗
위엄을 버리고 무위를 택하라
2007.05.16 by 산과벗
병을 병으로 알면 병이 되지 않는다
2007.05.15 by 산과벗
말에는 근원이 있다
2007.05.14 by 산과벗
싸움을 슬피여기는 쪽이 이긴다
사람을 잘 쓰려면 자신의 몸을 낮춘다
자비심을 가지고, 검약하며, 앞서려 하지마라
2007.05.11 by 산과벗
남의 위에 서려거든 자신을 낮추어라
2007.05.10 by 산과벗
이인성 / 장미 아침에 읽는 글 제73장 - [하늘의 그물은 성글어도 빠뜨리지 않는다] 勇於敢則殺, 勇於不敢則活, 此兩者或利或害, (용어감즉살, 용어불감즉활, 차양자혹이혹해,) 天之所惡, 孰知其故, 是以聖人猶難之, (천지소악, 숙지기고, 시이성인유난지,) 天之道, 不爭而善勝, 不言而善應, 不召而自來, ..
☞시(詩)·좋은글/아침을 여는글 2007. 5. 17. 09:57
박동인 / 5월의 빛 아침에 읽는 글 제72장 - [위엄을 버리고 무위를 택하라] 民不畏威, 則大威至, (민불외위, 칙대위지,) 無押其所居, 無厭其所生, 夫唯不厭, 是以不厭, (무압기소거, 무염기소생, 부유불염, 시이불염,) 是以聖人自知不自見, 自愛不自貴, 故去彼取此. (시이성인자지불자견, 자애불자귀, 고..
☞시(詩)·좋은글/아침을 여는글 2007. 5. 16. 08:35
김서봉 / 죽산의 5월(竹山의 5月) 아침에 읽는 글 제71장 - [병을 병으로 알면 병이 되지 않는다] 知, 不知, 上, 不知, 知, 病, 夫唯病病, 是以不病, (지, 부지, 상, 부지, 지, 병, 부유병병, 시이불병,) 聖人不病, 以其病病, 是以不病. (성인불병, 이기병병, 시이불병.) 알고도 모르는 듯 하는 것이 좋은 것이고 ..
☞시(詩)·좋은글/아침을 여는글 2007. 5. 15. 10:02
신선옥 / 5월의 하얀장미 아침에 읽는 글 제70장 - [말에는 근원이 있다] 吾言甚易知, 甚易行, 天下莫能知, 莫能行, (오언심이지, 심이행, 천하막능지, 막능행,) 言有宗, 事有君, 夫唯無知, 是以不我知, (언유종, 사유군, 부유무지, 시이불아지,) 知我者希, 則我者貴, 是以聖人被褐懷玉. (지아자희, 측아자귀..
☞시(詩)·좋은글/아침을 여는글 2007. 5. 14. 15:04
김보희 / 라일락 아침에 읽는 글 제69장 - (싸움을 슬피 여기는 쪽이 이긴다) 用兵有言, 吾不敢爲主而爲客, 不敢進寸而退尺, (용병유언, 오불감위주이위객, 불감진촌이퇴척,) 是謂行無行, 攘無臂, 잉無敵, 執無兵, (시위행무행, 양무비, 잉무적, 집무병,) 禍莫大於輕敵, 輕敵幾喪吾寶, 故抗兵相加, 哀者勝..
☞시(詩)·좋은글/아침을 여는글 2007. 5. 14. 15:03
서재흥 / 철쭉 아침에 읽는 글 제68장 - [사람을 잘 쓰려면 자신의 몸을 낮춘다] 善爲士者不武, 善戰者不怒, 善勝敵者不與, 善用人者爲之下, (선위사자불무, 선전자불노, 선승적자불여, 선용인자위지하,) 是謂不爭之德, 是謂用人之力, 是謂配天古之極. (시위부쟁지덕, 시위용인지력, 시위배천고지극.) 훌..
☞시(詩)·좋은글/아침을 여는글 2007. 5. 14. 15:02
남학호 / 장미 1 아침에 읽는 글 제67장 - [자비심을 가지고, 검약하며, 앞서려 하지 마라] 天下皆謂我道大, 似不肖, 夫唯大, 故似不肖, 若肖久矣, 其細也夫, (천하개위아도대, 사불초, 부유대, 고사불초, 약초구의, 기세야부,) 我有三寶, 持而保之, 一曰慈, 二曰儉, 三曰不敢爲天下先, (아유삼보, 지이보지,..
☞시(詩)·좋은글/아침을 여는글 2007. 5. 11. 08:18
김서봉 / 5月 팽나무 변산반도 아침에 읽는 글 제66장 - [남의 위에 서려거든 자신을 낮추어라] 江海所以能爲百谷王者, 以其善下之, 故能爲百谷王, (강해소이능위백곡왕자, 이기선하지, 고능위백곡왕,) 是以欲上民, 必以言下之, 欲先民, 必以身後之, (시이욕상민, 필이언하지, 욕선민, 필이신후지,) 是以..
☞시(詩)·좋은글/아침을 여는글 2007. 5. 10. 08:24